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독서심리학

저자
폴라 J. 슈와넨플루겔, 낸시 플래너건 냅  저, 서혁, 윤준채, 이소라, 류수경, 오은하, 편지윤, 윤희성, 변은지, 한지수  역
  • 가격

    29,000 원

  • 출간일

    2021년 08월 31일

  • 쪽수

    608

  • 판형

    165×235mm

  • ISBN

    9791167070227

  • 구매처 링크

요약

심리학과 교육학을 접목한 새로운 독서 교육 안내서. 아동이 좀 더 잘 읽을 수 있는 방법론에 치중해 온 기존의 독서 교육의 한계를 넘어 최근의 심리학적 이론과 연구 성과를 끌어들여 아동의 발달 순서에 따른 독서 교육의 필요성을 설파한다. 그동안 분리되어 있던 읽기 과정과 문해력 교육을 훌륭하게 융합해 냈을 뿐 아니라 읽기와 독서 발달에 대한 매우 독보적인 논의를 담고 있다. 독서심리학에 관한 수많은 연구 성과를 쉽게 풀어 주는 이 책은 효과적인 읽기 지도는 물론 실제 교육과 관련한 문식성 교육과정과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국 독자를 위해 읽기 평가와 관련한 내용을 마지막 장으로 추가하였을 뿐 아니라 가장 최근의 한국 누리과정과 국어과 교육과정 관련 내용을 각 장 말미에 덧붙여 미국의 공통 핵심 성취기준(CCSS, Common Core State Standards)과의 차이를 살필 수 있게 하였다. 독서 교육 관련 종사자라면 꼭 읽어야 할 필독서이다.

 

추천사

“독서심리학에 관한 거의 모든 연구 성과를 완벽하게 담아냈다. 간략히 요약한 연구 성과를 교실 수업에도 연결하여 정말 유익하다.” 수전 패럴트 다우즈(미네소타 세인트클라우드 주립대학교 지역심리상담가족치료학과 교수)

“독서심리학 관련 이론과 연구, 교육적 함의를 효과적으로 녹여 낸 최신 관점을 다룬 책으로, 특히 읽기와 독서 발달에 관한 논의는 매우 독보적이다. 전문가들은 이 책의 학술적 깊이와 진가를 금세 알아볼 것이고, 학생들은 수많은 연구 성과를 알기 쉽게 풀어 주는 저자들에게 감사할 것이다. 교육학, 심리학 학부와 대학원 교재로도 손색이 없다.”린다 베이커(메릴랜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그동안 분리되어 있던 읽기 과정과 문해력 교육의 두 연구 분야를 새롭고 훌륭하게 융합해 냈다. 특히 읽기 발달에 관한 설명은 정말 탁월하다.”데이비드 테리올트(플로리다 대학교 인간개발조직학부 교수)

 

 

출판사 서평

 

심리학의 렌즈로 바라본 새로운 독서 교육의 세계

독서심리학은 심리학과 교육학을 접목한 새로운 독서 교육 안내서이다. 독서 대중화 시대에 독서는 궁극적으로 인간과 세계를 읽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져 왔으며, 특히 쉽게 읽고 이해하는 ‘독해 능력’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수 능력이 되고 있다. 적절한 읽기 기능은 정신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 그간의 독서 교육은 아동이 좀 더 잘 읽을 수 있는 방법론에 치중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법론을 기계적으로 도입할 경우 아동의 인지와 동기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책은 제대로 된 독서 교육을 위해서는 방법론의 실천 이전에 독서가 ‘왜, 어떻게, 누구에게’ 효과적인지 이론적인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모든 학생에게 효과적인 독서 방법은 없기 때문에 독서 교육 전문가는 교육 현장에서 맹목적으로 방법론을 적용해서는 안 되며, 특정 학생에게 필요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폭넓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심리학은 이러한 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는 데 필요한 지적 경로를 제공한다.

지난 100년 동안 심리학자는 읽기와 독서 연구를 인간이 사고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窓)으로 간주해 왔는데, 실제로 읽기는 사고 과정을 살피는 창의 역할을 넘어 사고의 기초가 되는 뇌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간의 정신 과정을 연구하는 인지심리학과 전 생애에 걸친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발달심리학 등 최근 100년 동안의 심리학 연구는 신경영상(neuroimaging) 기법 등을 통해 읽기가 뇌 자체를 변화시켜 문자에 민감해지게 하며, 독서가 지능을 계발하고 두뇌를 향상시키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저자들은 이런 심리학적 연구 성과를 독서 교육에 끌어들여야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효과적인 독서 교육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아동발달 단계에 따라 독서의 전 과정을 소개한 독서심리학은 독서심리학에 관한 거의 모든 연구 성과를 담아내고 있다. 독서의 과정과 독서 학습에 관한 심리학의 주요 이론과 최신 이론을 토대로 수십 년간 진행해 온 여러 독서 교육의 사례와 방법론을 살펴보며 아동의 발달 순서에 따른 독서 교육의 필요성을 설파한다. 그동안 분리되어 있던 읽기 과정과 문해력 교육을 훌륭하게 융합해 냈을 뿐 아니라 읽기와 독서 발달에 대한 매우 독보적인 논의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들은 독서 교육을 둘러싼 대부분의 논쟁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취하지 않으며, 특정 심리학파의 관점 하나만을 기술하지 않는다. 그 대신 다양한 관점과 가설에 대해 균형 잡힌 증거를 보여 줌으로써 독자가 스스로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독서심리학에 관한 수많은 연구 성과를 쉽게 풀어 주는 이 책은 효과적인 읽기 지도는 물론 실제 교육과 관련한 문식성 교육과정과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독서심리학 연구가 학생의 읽기 학습 발달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독서심리학 연구와 밀접히 연관된 교수법의 사례도 제공한다. 이 책은 독서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을 지원할 실질적인 아이디어도 빠트리지 않는다. 단어 읽기, 복합어, 운율성 등을 포함해 독서(읽기)가 우리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대목도 흥미롭다. 독서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최신의 전문 지식을 쌓는 데 유용할 것이다. 또 인지심리학자, 교육심리학자, 검사도구 개발자, 학교심리학자는 물론 언어병리학자, 제2 언어 읽기 지도 전문가, 응용언어학자, 심리학자 등에게도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독서심리학

이 책은 발달 순서에 따라 읽기와 독서 학습 과정을 총 13개의 장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심리학의 커다란 두 줄기인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이들 이론이 읽기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1장 「서론」). 이어 가정에서 처음 아동의 읽기 학습이 어떻게 시작되고(2장 「가정과 독서」), 아동 스스로 터득한 언어 지식이 읽기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3장 「발생적 문식성」) 살펴본다. 아동이 낱자를 읽고 쓰기 시작해 글자를 깨치고(4장 「단어 읽기 학습」), 낱자와 소리를 연결해 능숙하게 단어를 읽기 시작한 후(5장 「능숙한 단어 읽기」), 억양을 살려 소리 내어 정확하게 글을 읽게 되기까지의 과정도 보여 준다(6장 「읽기 유창성」). 읽기를 통해 학습한 어휘가 두뇌와 독해 능력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7장 「어휘」), 그리고 독해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읽기 모형을 통해 밝히며(8장 「독해(읽기) 모형」), 독해 과정에서 추론을 하기 위해 어떻게 사전지식을 사용하고, 이러한 독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여섯 가지 독서 전략(9장 「독해(읽기 이해)의 구성 요소」)을 소개한다. 이 외에도 읽기 능력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읽기 동기(10장 「읽기 동기」)와 문자 체계가 다른 두 가지 언어를 배우는 아동의 독서 교육(11장 「언어적 차이와 읽기 학습」), 독서를 통해 얻는 혜택(12장 「독서의 이유」)을 다룬다. 특히 옮긴이들은 한국 독자들을 위해 읽기 평가와 관련된 내용(13장 「읽기 평가」)을 추가함으로써, 독서 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담았다.

각 장은 주제와 관련된 수업 사례로 시작한다. 이는 지난 수년간 저자들이 독서심리학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었던 사례들로, 아동의 문제점을 다양하게 이해하고 교사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접근하면 좋은지 실제 사례를 보여 주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또 각 장의 말미에는 가장 최근의 한국 누리과정과 국어과 교육과정 관련 내용을 추가하여 각 장의 내용이 한국의 교육과정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 수 있게 하였다. 특히 미국의 공통 핵심 성취기준(CCSS, Common Core State Standards)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살필 수 있게 하였다. 독서 교육 전문가들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 책에서 다룬 수많은 이론과 방법론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차례

 

옮긴이 서문 5

 

01 서론 17

1. 왜 심리학자들은 독서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20

2. 왜 독서 교사들은 심리학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22

3. 독서와 관련된 주요 두 심리학파: ‘인지적 정보처리’와 ‘구성주의’ 23

4. 이 책의 구성과 방향 37

3. 형제자매와 조부모 65

4. 읽기 습득 및 발달에 대한 빈곤의 영향 69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초기 읽기 발달 지원을 위한 가족과의 협력 78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82

 

02 가정과 독서 39

1. 구어 발달과 읽기 42

2. 초기 읽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문식성 요인 50

3. 형제자매와 조부모 65

4. 읽기 습득 및 발달에 대한 빈곤의 영향 69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초기 읽기 발달 지원을 위한 가족과의 협력 78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82

 

03 발생적 문식성 87

1. 읽기 준비도 관점 90

2. 발생적 문식성 관점 92

3. 환경적 문자 97

4. 알파벳 지식 101

5. 음운 인식과 음소 인식 109

6. 해독 관련 기능과 음성언어 및 어휘와의 관련성 118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121

8. 결론 124

 

04 단어 읽기 학습 127

1. 낱자-소리-의미의 연결 130

2. 철자의 규칙성 131

3. 단어 읽기 학습의 단계 135

4. 파닉스 지식 이외의 요인 141

5. 수업을 위한 시사점 146

6.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156

7. 결론 159

 

05 능숙한 단어 읽기 163

1. 낱자 재인 166

2. 자소-음소 대응과 능숙한 단어 재인 169

3. 단어 재인 모형 176

4. 개별 단어의 특성과 그것이 단어 읽기에 주는 영향 183

5. 후속 단어 읽기에 대한 의미 맥락의 효과 199

6. 평가를 위한 함의 206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07

 

06 읽기 유창성 211

1. 음독 유창성이란 무엇인가 214

2. 유창성과 독해의 관계 227

3. 읽기 발달 과정에서의 유창성 232

4. 묵독으로의 전이 236

5. 이중 언어와 읽기 유창성 240

6. 수업을 위한 시사점 241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44

 

07 어휘 249

1. 어휘 지식의 차원 256

2. 아동은 얼마나 많은 단어를 알고 있는가 261

3. 학령기 아동이 발달해야 하는 중요한 어휘 영역 266

4. 왜 풍부한 어휘를 갖는 것이 중요한가 270

5. 새로운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 277

6. 새로운 단어 학습을 위한 교실 수업 288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293

 

08 독해(읽기 이해) 모형 299

1. 읽기에 대한 단순 관점 304

2. 스키마 이론 관점 309

3. 구성-통합 모형 322

4. 직접·추론 매개 모형 332

5. 결론 336

 

09 독해(읽기 이해)의 구성 요소 339

1. 사전지식 341

2. 추론 347

3. 독해 전략 363

4.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독해를 촉진하는 교실 수업 379

5.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383

 

10 읽기 동기 389

1. 읽기 동기의 기대×가치 모형 395

2. 읽기 성공에 대한 기대 398

3. 독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9

4. 독서에서 목표 지향 425

5.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읽기 동기를 향상시키는 교실 수업 429

6. 읽기 동기 측정하기 435

7.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439

 

11 언어적 차이와 읽기 학습 443

1. 문자 체계와 읽기 학습 446

2. 제2 언어에서의 읽기 학습 458

3. 방언과 읽기 학습 467

4. 공통 핵심 성취기준과의 연계 474

5. 결론 476

 

12 독서의 이유: 독서의 심리사회적 혜택 479

1. 독서가 주는 인지적 혜택 483

2. 문식성이 주는 사회·정서적 혜택 489

3. 문식성이 주는 사회적 혜택 493

4. 결론 496

5. 교육과정과의 연계 497

 

13 읽기 평가 501

1. 읽기 평가의 개념과 읽기 평가 관점의 변화 503

2. 읽기 평가의 목적 507

3. 읽기 평가의 원리 508

4. 읽기 평가의 내용 511

5. 읽기 평가의 방법 514

6. 읽기 평가 결과의 활용 523

 

주 526

참고문헌 542

찾아보기 5

저 : 폴라 J. 슈와넨플루겔

미국 조지아 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명예교수이다. 독서심리학, 심리언어학, 아동발달에 대한 연구와 교육에 힘써 왔으며, 언어학 및 인지과학 프로그램 개발에도 관여해 왔다. 읽기 유창성, 어휘 처리 과정, 의미 발달, 어휘 지식에 대한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를 하면서, 문식성과 관련한 대규모 학교 기반 중재 연구를 수행해 왔다. 심리학, 교육학 관련 학술 논문과 독서(읽기) 관련 공저가 다수 있다. 최근까지 문식성 발달과 관련한 이론적 기반의 교육 실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The Psychology of Word Meanings(2013)와 PAVEd for Success: Building Vocabulary and Language Development in Young Learners(2011)를 출간했다.

저 : 낸시 플래너건 냅

미국 조지아 대학교 교육심리학과 부교수로, 학습, 설계, 테크놀로지를 담당하며 20년간 독서심리학을 강의해 왔다. 문식성과 학습 이론에 관한 과목을 주로 가르친다. 최근에는 유·초·중등(K-12) 및 대학생 수준의 읽기 부진 독자를 위한 교수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전문적인 코스 개발과 세미나를 수행해 왔다. 특히 중등학교와 대학의 학문 목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도제식 읽기(Reading Apprenticeship) 프로그램, 초등학교 읽기 부진 학습자를 위한 2단계(Tier 2) 중재 프로그램 개발자이기도 하다. 문식성에 관한 학술 논문을 다수 발표했으며, 학술지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의 창간 에디터이다.

역 : 서혁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독서학회 회장, 주요 공저로 『독서교육론』, 『국어교육학과 사고』, 『언어와 교육』, 『어휘교육론』,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등이 있고, ‘시선추적장치(아이트래커)를 이용한 읽기 과정 연구’, ‘텍스트 복잡도 연구’, ‘복합양식 텍스트성 연구’에 관한 논문 등 다수가 있다. 

역 : 윤준채

대구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대구교육대학교 난독증연구소장. 주요 공저로 『초등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독서교육의 이해—독서의 개념·지도·평가』, 『비판적 사고와 교실 수업』 등이 있고, 역서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어휘 지도』, 『읽기 전략과 읽기 수업』(공역) 등이 있다. 

역 : 이소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주요 논문으로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글 읽기와 눈동자 움직임 특성 분석」, 「인식론적 신념이 독자 신념과 다문서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인식론적 신념, 읽기 전략에 대한 상위인지 및 다중관점 읽기의 구조적 관계 분석」 등이 있다.

역 : 류수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주요 논문으로 「내재적 독서 동기 촉진 교수 전략에 대한 이론적 탐색: 외적 보상이 내재적 독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이론에 기반한 해외 중등학교 과제 중심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의사소통 과제 활동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역 : 오은하

수원대학교 교양대학 객원교수. 주요 논문으로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 성취기준 개발」(공동)과 「다문서 이해에 대한 텍스트 구조적 접근: 고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구조의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인터넷 기사문의 댓글에 대한 내용 분석: 독자들의 비판적 읽기 양상 탐색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역 : 편지윤

한라대학교 교양과정부 조교수. 주요 논문으로 「행위주도적 독자(Agent Reader) 형성을 위한 읽기 교육 연구」, 「청소년 독자의 읽기 활동체제(activity system) 분석: 우수한 고등학생 독자의 ‘의미 있는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읽기 관여(reading engagement)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은유분석을 통해 본 초·중·고등학생의 읽기 개념 인식의 발달적 경향」 등이 있다.

역 : 윤희성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요 논문(공동)으로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2)」, 「다문화 교육지원 전달체계 연구」가 있고, 「이주배경청소년 진로탄력성 프로그램 ‘진로탄탄’ 프로그램 개발」, 「탈북학생을 위한 표준 보충교재 ‘돋움 국어’ 및 진단 도구 개발」 등의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했다.

역 : 변은지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요 논문(공동)으로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문자 텍스트 읽기와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역 : 한지수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주요 논문(공동)으로 「복합양식 텍스트성으로서의 영상성의 의미 고찰」, “How is culture represented in textbooks–‘marriage’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Cogent Education” 등이 있다.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