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미중 ICT 경쟁과 남북 ICT 협력

저자
김상배, 황지환, 윤정현, 정헌주, 강하연, 이왕휘, 허재철, 이승주, 박경렬, 김진아  저
  • 가격

    25,000 원

  • 출간일

    2021년 09월 27일

  • 쪽수

    391

  • 판형

    152*224mm

  • ISBN

    9791167070241

  • 구매처 링크

“남북 간의 단기적 협력 아이템 찾기에 급급하기보다는

남북한이 처해 있는 구조적 상황, 지정학적 조건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남북협력을 중장기적으로 준비하는 작업이 필요”

 

 

이 책은 장차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남북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협력의 조건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특히 글로벌 및 동아시아 차원에서 진행되는 ICT 분야의 구조변동을 미중 ICT경쟁 사례들을 통해 검토하였다. 최근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벌어지는 미중 경쟁은 이 분야의 주도권뿐 아니라 미래 글로벌 패권의 향배까지 엿보게 할 정도로 주목을 끌고 있다. 또한 미중 ICT경쟁의 전개는 장차 남북 ICT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환경과 지정학적 조건을 형성하는 변수가 될 것이다. 미중 ICT경쟁의 와중에 생성되는 ‘구조적 공백(structural hole)’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책은 인프라, AI/SW, 우주기술, 무선통신, 디지털 화폐, 디지털 미디어, 국제협력과 대북제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ICT 분야의 미중 패권경쟁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변동, 그리고 그러한 틈새에서 모색할 남북 ICT협력의 가능성과 제약요인을 살펴보았다.

 

 

책의 구성과 내용

 

이 책의 총론 성격으로 집필된 제1장 “미중 ICT경쟁과 남북 ICT협력: 구조의 분석과 기회의 탐색”(김상배)은 장차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남북 ICT협력의 조건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특히 글로벌 및 동아시아 차원에서 진행되는 ICT 분야의 구조변동에서부터 논의의 실마리를 풀고자 했다. 제1장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남북 ICT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변수로서 미중 ICT경쟁의 양상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남북 ICT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정학적 변수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남북 ICT협력에 임하는 한국의 과제를 간략히 짚어보았다.

제1부는 인프라, AI/SW, 우주기술 분야에서 벌어지는 미중 ICT경쟁의 현황과 남북 ICT협력의 가능성을 다룬 세 편의 논문을 담았다.

제2장 “북한의 ICT 및 인프라 정책: ‘새 세기 산업혁명’, CNC화, 인력”(황지환)은 글로벌 4차 산업혁명 과정에서 북한이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는 ICT 산업 및 관련 인프라 정책을 북한의 국가전략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제3장 “디지털 전환기의 미·중 ICT경쟁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 분야의 남북협력”(윤정현)은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포함한 ICT 플랫폼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교류・협력 가능성을 검토하고, 선순환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접근 방안을 탐색하였다. 미중 ICT경쟁 양상과 남북한의 정책 추진 현황을 시작으로 양국의 기술역량과 활용 수준, 상호 잠재력을 검토하였으며, 협력을 위한 연계분야를 살펴보았다.

제4장 “우주 영역에서의 미중 경쟁과 남북협력 방안 모색”(정헌주)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우주 기반 기술이 갖는 경제적, 군사적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우주 영역에서의 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는 지적에서 시작한다. 우주의 평화적 이용과 한반도 평화라는 공동의 가치를 추구하기 위하여 우주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수준과 부문에서의 남북협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제2부는 무선통신, 디지털 화폐, 디지털 미디어 분야에서 벌어지는 미중 ICT경쟁의 현황과 남북 ICT협력의 가능성을 다룬 세 편의 논문을 담았다.

제5장 “무선통신의 국제정치경제와 남북ICT협력”(강하연)은 북한의 무선통신 산업이 체제 유지 및 시장통제라는 이중 목표에 의해 진화하고 있음을 주목하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남북 간 상호 윈윈하는 협력의 방향성을 고민하였다. 아울러 북한의 ICT산업의 발전사를 다루고 무선통신서비스의 도입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무선통신 단말기와 서비스, 그리고 모바일 결제시스템의 정치경제적 분석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남북 ICT협력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6장 “디지털 통화: 모바일 결제의 확산과 해킹 문제의 악화”(이왕휘)는 디지털 통화의 사례를 통해서 향후 세계경제의 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할 디지털 경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심화되고 있는 미중 경쟁을 살펴보았다.

제7장 “미중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경쟁과 남북 ICT협력: 중국 사례의 함의”(허재철)는 한반도의 남과 북이 어떻게 ICT 분야에서 협력을 할 수 있고, 어떤 과제를 극복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ICT를 통해 구현되는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에 주목하여 남북협력의 가능성과 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제7장은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 타이완 사이의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협력과 갈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남북 ICT협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제3부는 국제협력과 대북제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미중 ICT경쟁의 현황과 남북 ICT협력의 가능성과 한계를 다룬 세 편의 논문을 담았다.

제8장 “지구적 가치사슬과 북한”(이승주)이 주목한 것은 지구적 가치사슬의 변동 과정에서 생성되는 기회요인이다. 2000년대 이후 전통 무역보다 GVC 무역의 규모가 더 커지기 시작하였고, 2010년 이후부터 GVC 무역의 규모가 전통 무역의 약 1.7배에 달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세계 무역의 패턴이 GVC 무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남북협력을 GVCs와 연계하여 추진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제9장 “과학기술 ICT협력과 북한”(박경렬)은 북한의 과학기술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특히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 전개될 수 있는 북한과의 협력 및 가능성에 대해 국제개발협력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정치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바탕으로 발전전략으로서 북한의 과학기술 담론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북한의 ICT 정책과 지속가능발전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과의 ICT협력에 대한 과제와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제10장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남북 ICT협력”(김진아)은 남북한 ICT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대북제재의 변수에 주목하였다. 향후 남북교역에서 전자, 전기, 통신 등 설비투자는 민감한 기술의 군사적 전용을 방지하는 전략물자 통제에 의해 난관이 예상된다. 최근 미중 정보통신 분야 경쟁이 심화되면서 미국 상무부의 정보통신기술 공급망 보안과 관련한 조치들이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남북 ICT협력을 추진할 경우 유엔, 다자, 양자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요소들을 살펴봐야 한다.


차례 

 

머리말

 

제1장 미중 ICT경쟁과 남북 ICT협력: 구조의 분석과 기회의 탐색

I. 머리말

II. 미중 ICT경쟁, 구조의 변동?

III. 북한 ICT현황, 기회의 탐색?

IV. 남북 ICT협력의 지정학적 변수

V. 맺음말

 

 

제1부 인프라, AI/SW, 우주기술 분야

제2장 북한의 ICT 및 인프라 정책: ‘새 세기 산업혁명’, CNC화, 인력

I. 머리말

II. 북한의 ICT 인프라 국가전략 기조

III. 북한의 ICT정책: ‘새 세기 산업혁명’과 ‘CNC화’

IV. 북한의 ICT 인프라 정책: 조직과 인력

V. 북한 ICT산업 및 남북협력의 가능성과 한계

 

제3장 디지털 전환기의 미·중 ICT경쟁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 분야의 남북협력

I. 서론

II. 미·중 ICT경쟁과 대외적 제약 환경

III. 남북의 AI·SW 분야 육성 전략과 쟁점

IV. 기술역량 측면에서 본 북한의 인공지능·SW 분야의 협력 가능성

V. 협력 환경 측면에서 본 인공지능·SW 분야의 쟁점과 제약 요인

VI. 결론

 

제4장 우주 영역에서의 미중 경쟁과 남북협력 방안 모색

I. 머리말

II. 우주기술 혁신과 미중 경쟁

III. 우주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협력과 규범

IV. 남북한의 우주기술과 협력방안 모색

V. 맺음말

 

 

제2부 무선통신, 디지털 화폐, 디지털 미디어 분야

제5장 무선통신의 국제정치경제와 남북한 ICT협력

I. 머리말

II. 북한에서 ICT산업의 위상 및 발전

III. 무선통신의 정치경제

IV. 맺음말

 

제6장 디지털 통화: 모바일 결제의 확산과 해킹 문제의 악화

I. 머리말

II. 미중 디지털 통화 경쟁

III. 북한의 모바일 결제의 확산과 디지털 통화 해킹

IV. 남북한 협력: 한국의 역할

V. 맺음말

 

제7장 미중 디지털 미디어·콘텐츠 경쟁과 남북 ICT협력: 중국 사례의 함의

I. 머리말

II. 중국과 홍콩·마카오·타이완의 관계

III. 중국과 홍콩·마카오·타이완의 미디어 환경

IV.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를 둘러싼 협력과 갈등

V. 남북 ICT협력에 대한 함의

 

 

제3부 국제협력과 대북제재

제8장 지구적 가치사슬과 북한

I. 서론

II. 미중 경쟁과 동아시아 GVCs의 구조적 변화

III. 남북 경제협력

IV. GVCs 연계와 남북 ICT협력

V. 결론

 

제9장 과학기술 ICT협력과 북한

I. 머리말

II. 이론적 체계

III.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및 ICT협력

IV. 북한과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V. 맺음말: 과제 및 전망

 

제10장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와 남북 ICT협력

I. 바세나르체제

II. 유엔 대북제재

III. 미국의 대북제재

IV. 결론

저 : 김상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장과 미래전연구센터장을 겸하고 있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한 이력이 있다. 주요 논저로 『우주경쟁의 세계정치: 복합지정학의 시각』(2021, 편저),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2018),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2014), 『정보혁명과 권력변환: 네트워크 정치학의 시각』(2010) 등이 있다.

저 : 황지환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콜로라도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남북한 군사협력과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 넥서스: 기능주의와 역기능주의를 넘어서”(2021), “북한의 생존전략과 한반도 평화구상”(2021),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귀환: 미국우선평화 대 병진평화”(2019) 등이 있다.


저 : 윤정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의 시대: 네트워크 거버넌스, 통치의 시대에서 조정의 시대로』(2021),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등 신흥안보의 미래전망과 대응방안』(2020), “디지털 전환기의 산업재편과 ICT 기반 남북협력 방안”(2020), “신흥안보 거버넌스: 이론적 고찰과 대안적 분석틀의 모색”(2019) 등이 있다.

 

저 : 정헌주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An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ants of Aid Allocation by South Korean CSOs”(2021), “South Korea’s outward direct investment and its dyadic determinants”(2020), 우주안보와 국방우주력(2022) 등이 있다.

저 : 강하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국제협력연구본부 본부장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복수국간서비스협정 전자상거래 규범 영향평가 및 대응전략 수립』(2016, KISDI 연구보고서), “디지털경제와 무역규범- 새로운 통상거버넌스의 부상”(2018), “글로벌 빅데이터 거버넌스의 정치경제”(2020) 등이 있다.

저 :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런던정치경제대학(LSE)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미중 전략적 경쟁,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풀어야 하나』(202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세계금융위기, 질서 변환, 중견국 경제외교』(2021), 『바이든 시기 중국의 다자외교 전망』(2021) 등이 있다.

저 : 허재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중국경제실 부연구위원

세종대학교에서 경제무역학을 전공하고,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에서 미디어학 석사학위를, 그리고 중국 런민(人民)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중국의 일국양제 20년 평가와 전망』(2020, 공저), 『현대 중국외교의 네트워킹 전략 연구: 집합, 위치, 설계 권력을 중심으로』(2019, 공저), “Analysis of Modern China’s Summit Network”(2017) 등이 있다.

저 : 이승주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싱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정치학과 교수와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같은 대학의 Berkeley APEC Study Center에서 postdoctoral fellow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이사,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1, “경제·안보 넥서스(nexus)와 미중 전략 경쟁의 진화.” 『국제정치논총』 61(3)

2020, 이승주 엮음. 『미중경쟁과 디지털 글로벌 거버넌스』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저 : 박경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조교수 및 경영공학부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외교학 복수전공)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Kennedy School of Government)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런던정치경제대학(LSE)에서 정보시스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Closing the Feedback Loop: Can Technology Bridge the Accountability Gap”(2014, 공저), “개발협력관점에서 본 데이터혁명: 비판적 소고”(2020) 등이 있다.

저 : 김진아

한국외국어대학교 LD학부 부교수

미국 터프츠대학교 플레처스쿨(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협력적 위협감소와 한반도』(2020), “Limiting North Korea’s Coercive Nuclear Leverage”(2020), “The Dilemma of Nuclear Disarmament”(2020) 등이 있다.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