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긴밀히 연결되는 세계,
지리학적 통찰 없이 21세기 현세계를 말할 수 없다!
2015년 우리나라는 이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두 가지 낯선 경험을 했다. 하나는 지난 한 달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뜨렸던 메르스 사태다. 지구 반대편의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한 이 낯선 질병은 지난 한 달 가까이 대한민국을 공포로 몰아넣었고, 실제로 그로 인해 수십 명이 목숨을 잃었다. 또 다른 하나는 IS라는 이슬람 무장 단체에 우리나라 학생이 가입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저 먼 나라 이야기로만 느껴졌던 이슬람 테러 집단의 위협에서 우리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음을 실감한 것이다. 이 두 가지 사실로 알 수 있는 것은, 이제 지구 상에서 벌어지는 어떤 일도 더 이상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지구 상의 모든 나라들이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지금, 다른 나라에 대한 지리학적, 문화적 이해 없이는 갈수록 복잡해지는 21세기의 국제 관계를 이해할 수도, 그 안에서 살아남을 수도 없다. 이것이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지리학적 지식이 중요한 이유이다. 이번에 사회평론에서 출간된 세계적 지리학자 하름 데 블레이의 저서 <왜 지금 지리학인가>는 이러한 맥락에서 지리학이라는 독특한 관점과 사유를 통해, 21세기의 국제적 흐름을 해석하고 조망하고 있다.
지리는 생각보다 많은 것을 결정한다.
세계는 사실 평평하지 않다.
세계화를 옹호하는 담론으로서 토머스 프리드먼의 ‘세계는 평평하다’라는 문장만큼 생생하게 다가오는 것이 있을까. 그러나 이 책은 우리가 공유하는 세계화의 기반이 지극히 제한적이며 세계는 ‘평평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출생의 우연에 의해 서로 판이하게 다른 환경에서 살게 되며, 우리 중 일부는 평화와 안정을 누리는 지역에서 태어나지만 일부는 모국의 고질적 분쟁에 직면한다. 전 세계의 상호 연결성이 증대되면서 더 나은 곳으로의 이주가 가능해질지는 모르지만, 이주 희망자들이 세계화의 장벽 안으로 진입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름 데 블레이는 세계가 평평하다거나 평평해진다는 말은 ‘핵심부’를 차지한 지식인들에게는 고무적일지 모르나, 세계화의 높은 장벽 밖에 있는 많은 이들에게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
사실, 엘즈워스 헌팅턴이 20세기 중반에 내놓은 환경결정론은 이의 극단적인 사례다. 번영하는 문화권과 그 지역의 기후는 명백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사계절이 뚜렷한 중위도 지역의 사람들은 세계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우위를 점해 주도적인 위치에 서게 된다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이는 중위도 지역의 사람들이 우월하다는 결론을 넘어 나치의 ‘지배 인종’ 이념까지 암시한다는 이유로 당시 많은 비판을 받았으나, 그 후 재러드 다이아몬드가『총, 균, 쇠』에서 특정 집단이 ‘여러 자연조건의 결합으로 유리한 환경적 기회를 잡아 장기간 수혜를 입을 때는 강점이 지속된다’라고 비슷한 맥락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국면을 맞은 세계정세
지리학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충돌의 양상을 읽어낸다.
이슬람 무장 단체 IS에 가담하기 위해 시리아로 넘어간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의 고등학생을 비롯해, 러시아와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청소년들이 이 단체에 가입하려 한다는 소식이 심심찮게 들려온다. 예전에는 테러 단체가 지리적 정체성이 강하고 활동이 지역적으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면, 이제는 테러 단체의 구성원과 활동 지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SNS의 발달로 인해 타 지역 사람들과의 교류가 쉬워지고 선동적인 정보도 단시간에 퍼져나가게 되면서, 테러 단체의 구성과 공격 양상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 것이다.
이 책은 테러리즘이 무엇인지에 대해 원론부터 논하며, 테러 공격의 발생을 사전에 파악하려면 인문 지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예컨대, 1884년 식민 열강들이 베를린 회의에서 아프리카의 분할을 결정할 때, 이들은 대륙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종교적 구분선에는 신경 쓰지 않았다. 이렇게 국경과 어긋나게 동서로 뻗은 아프리카의 ‘이슬람 전선(Islamic Front)’은 훗날 국가의 통합을 위협하고 테러리스트와 반군의 행동을 부추기는 분쟁 지대가 되었다. 수단의 무슬림 정부가 아프리카 기독교와 애니미즘 신도가 다수를 차지하는 남부 지역과 긴 전쟁을 벌인 후 2011년 국민 투표로 수단과 남수단으로 분리되었고, 나이지리아에서는 무슬림이 다수인 북부와 기독교도가 많은 남부 사이에 폭동과 정치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9년 이슬람 테러 단체 보코하람이 등장해 나이지리아의 치안 문제에 주요 변수가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아무것도 확실하지 않은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세계의 본질을 읽고 기술의 변화와 흐름을 읽어 이에 대처하는 것이다. 이 책은 지구의 역사부터 인류가 겪은 갖가지 사건들, 각 대륙이 위치한 장소와 그 안의 사람들이 처한 상황을 체계적으로 살피고, 공간에 대한 이해가 미래에 다가올 전 세계적 위기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명쾌하게 서술한다.
왜 지금 ‘어느 때보다도’ 지리학에 주목해야 하는지, 지리학자의 세상보기는 세계에 대한 명쾌한 해석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저 : 하름 데 블레이(Harm J. de Blij)
세계를 해석하는 틀로서의 지리학을 강조한 지리학자. 유럽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아프리카에서 대학 공부를 했으며,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시간 주립대학 지리학과 교수, 미국 ABC TV 프로그램 <굿모닝 아메리카>와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지리학 에디터를 지냈으며, 『공간의 힘: 지리학, 운명, 세계화의 울퉁불퉁한 풍경』, 『Human Geography: People, Place, and Culture』, 『Realms, Regions and Concepts: With College Atlas of the World』 등 30여 권의 저서를 통해 지리학의 관점으로 세계의 정치?경제 질서를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립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이 책에서 그는 대규모 환경 변화, 대대적인 인구 이동, 문명의 충돌 등 21세기의 도전을 바라보는 지리학자의 시각을 소개하며, 지리적 지식 없이는 이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분쟁의 원인, 종교의 기원까지도 생각해볼 수 있는 지리적 사건들과 그 환경적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며, 세계에 대한 분석을 심도 있게 풀어내고 있다.
역 : 유나영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했고 삼인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옮긴 책으로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프란치스코 교황과 함께하는 매일 묵상』, 『예술 분과로서의 살인』, 『화폐 없는 세계는 가능하다』, 『오 마이 갓 뎀 아메리카』 등이 있다. 개인 홈페이지는 lectrice.co.kr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