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책 소개
미-중 간 세력전이가 일어날 것인가에 대한 심층 진단
향후 세계사의 핵심인 미중관계의 미래는 어떻게 전개되고, 한국은 어느 편에 서야 하는가?
“미중관계를 이념적 소신이나 정치적 판단이 아니라 엄정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서 분석하고 예측”
21세기 전반의 국제정치는 미중관계에 의해서 결정될 것이다. 미중관계에 세력전이가 일어나서 미국과 중국은 투키디데스의 함정에 빠지고 말 것인가? 인도·태평양에서 미국과 중국은 왜 어떻게 부딪히고 있는가? 미국과 중국은 신냉전에 돌입하였는가? 미중경쟁 하에서 자유주의 국제질서는 살아남을 것인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답에 따라서 국제정치의 큰 판이 결정될 것이고, 어느 지역이나 국가도 이 판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미중관계는 글로벌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북아의 안보지형에도 결정적 요인이 될 것이다. 북핵과 한반도 평화, 남북한 관계, 한반도의 분단과 미래 통일, 한미동맹, 한미일 관계, 동중국해와 중일관계 등 역내 안보 현안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더구나 미중관계가 전략적 경쟁으로 지속되거나 갈등 혹은 적대적 관계로 악화할 경우 한국은 선택이 강요되는 구조적 제약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한미동맹은 한국의 핵심 안보 축이고,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다. 미중관계가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따라 한국의 대외전략은 그에 따른 외압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이런 이유로 미중관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의 복합적 작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미중관계의 전개 양상을 예측하는 일은 21세기 전반의 국제정치를 전망하고 동북아의 안보지형을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전망과 예측을 기반으로 우리는 한국의 국가전략을 세우고 한국 외교의 방향을 잡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미중관계를 이념적 소신이나 정치적 판단이 아니라 엄정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서 분석하고 예측해야 한다. 그래야 미중관계의 미래를 제대로 그릴 수 있을 것이고, 한반도 평화와 한국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국가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미중관계 핵심 요인들의 심층 진단을 통해 한국의 국가전략을 고민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저 : 이호철
서울대학교에서 불문학과 외교학을 수학하고 미국 럿거스대학교에서 정치경제학과 국제정치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사회과학대학 학장, 부총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한국국제교류재단 운영자문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북경대학, 콜럼비아대학, UCLA에서 연구를 수행하였고 현재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송도국제학술원 원장으로 강의와 연구를 맡고 있다.
중국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분야에서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Asian Perspective, SAGE Libra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등에 많은 연구들을 발표하였다. 주요 연구는 “A Dilemma of Success”(2022), “한반도 비핵평화 프로세스: 포괄적 합의, 단계적 이행”(2019), “South Korea-ChinaRelations”(2018), “Power Politics Behind the Transforming Geopolitics in East Asia”(2017), “중국의 부상과 지정학의 귀환”(2017), “China in North Korean Nuclear Crises: ‘Interest’ and ‘Identity’ in Foreign Behavior”(2013), “Political Institutionalization as Political Development in China”(201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