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재 · 학술
일본인의 빛바랜 기록으로 잊혀가던
한국 근대관광을 복원하다
일반적으로 관광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하나는 생산자, 즉 관광공급자로서의 관광지와 관광 대상 그리고 이를 조성한 주체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소비자, 즉 여행자와 관광객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관광공급자 측면의 연구는 관광지의 구조와 성격, 관광정책, 관광을 제공하는 국가·시장·조직의 특성 등이 연구 대상이다. 이때는 관광지의 정보를 담고 있는 관광안내서와 관광정책 보고서 등이 중요한 자료가 된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이루어진 근대관광 연구는 대부분 관광공급자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다. 신문자료를 활용해 한국 학생들의 일본·만주 수학여행의 여정 등을 살펴본 연구, 조선총독부 자료, 관광안내서 등을 활용해 일제하 조선총독부의 관광정책과 주요 여행지를 고찰한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근대 일본인의 서울·평양·부산 관광』이 지금까지 근대관광을 다룬 여타 책과 다른 점은 관광의 소비자, 즉 관광객의 측면도 함께 다룬다는 점이다. 그동안 소비자 측면에서 연구가 이뤄지기 어려웠던 점은 당시 한반도 관광을 누렸던 주 소비자 역시 일본인이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당시 일본인의 기행문, 사진 등을 그러모아 해체하다시피 분석하였고, 한반도에서 펼쳐진 근대관광의 모습을 복원하는 동시에 일본인이 기록하지 않은 사회상과 역사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그러므로 일본인의 손에서 끝날 뻔한 한국 근대관광의 기록을 다시금 우리의 기록으로 만들었다는 데 이 책은 또 다른 의의를 갖는다.
시대를 다시 그리게 하는 개인들의 기록물
“한눈에 내려다본 경성 시가의 전망은 실로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시가를 둘러싼 산들이 멀리 창공에 분명하게 붉게 도드라졌다. 그것은 내지 등에서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산의 모습이었다. 살짝 안개가 서린 가운데 아침 햇볕을 받은 집들이 모두 하얗게 빛나고 있었다. 지붕은 붉은색이 많이 눈에 들어왔다. 마치 어딘가 외국의 거리에 온 것 같은 이국적인 경치였다.” (닛타 준)
1941년 경성을 찾은 소설가 닛타 준이 유람 버스를 타면서 본 경성 풍경을 기행문에 남긴 내용의 일부다. 식민지 조선에 관광을 와서 그 기행을 글로 쓴 이 일본인과 같이, 과거의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여행을 떠났고, 먼 곳에 대한 동경과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품고 관광에 나섰다. 그런 동경과 호기심은 관광안내서와 지도를 낳았고, 세계 곳곳을 여행한 사람들은 수많은 기행문을 남겼다. 역사적 기록을 통해 과거의 경관이나 지리적 상황을 복원하는 역사지리학자인 저자는 특히 개인이 기록하는 여행의 결과물인 기행문에 관심을 가졌다. 문학작품이기도 한 기행문은 작가의 여행 과정과 여행지의 지역 상황을 상세하고, 비교적 재미있게 담고 있는 사실적인 기록이므로, 과거의 경관이나 지리적 상황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연구 자료로 활용한 일본인의 기행문(단행본)은 80여 편에 이른다. 이와 별도로 기행문 저자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직업, 관광 당시 나이, 관광의 개인적 배경 등에 대해서도 인터넷과 문헌 자료를 샅샅이 살피어 조사하였고, 이 결과를 도표로 정리하였다. 연구 자료로 활용한 관광안내서는 37가지, 사진첩 목록은 18개다. 각종 지도와 사진첩에 수록된 도판을 비롯하여 저자가 직접 찍은 사진과 소장하고 있던 그림엽서를 포함한 총 90여 개의 도판을 이 책에 실었다.
저 : 정치영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일본 교토대학교 초빙학자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지리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거를 대상으로 하는 지리학’인 역사지리학을 전공한 저자는 지역의 과거 경관이나 지리적 상황을 복원하는 데 집중해 왔으며, 최근에는 옛사람들의 여행에 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지리지를 이용한 조선시대 지역지리의 복원』, 『사대부, 산수유람을 떠나다』, 『지리산지 농업과 촌락 연구』와 『한국 중소도시 경관사』(공저), 『여행기의 인문학 2』(공저), 『한국의 명승』(공저), 『한국역사지리』(공저), 『지명의 지리학』(공저), 『피맛골에 내려온 남산의 토끼』(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