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재 · 학술
지금부터 1만 년 전 농경이 시작된 때부터 초기국가가 고도로 발달한 청동기문명을 구가하던 기원전 11세기경까지의 중국을 다룬 책이다. 구석기시대의 최후기를 살았던 수렵채집집단에서 신석기시대의 농업취락을 거쳐 청동기시대의 상 왕조 까지, 중국 사회가 어떻게 단순한 사회조직에서 복잡한 국가체제까지, 작은 마을에서 도시까지, 그야말로 ‘야만’에서부터 ‘문명’까지 변화하였는지를 물질자료에 근거하여 간결하면서도 소략하지 않게 풀어 나가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장구한 시간에 걸쳐 전개되는 중국 최초기의 문명사를 마치 파노라마처럼 확 트인 시야에서 조망할 수 있다.
친숙하나 잘 모르는 중국고고학
따지고 보면, 중국고고학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주제이다. 중등학교의 교과서에는 양사오문화니 얼리터우 유적이니 하는 중국고고학의 굵직한 테마가 소개되어 있고, 각종 매체는 최근 중국에서 발견된 고대의 유적이나 오래된 물건들을 앞다투어 소개한다. 학계의 경우도 그렇다. 우리나라에도 중국고고학 연구자가 적지 않다. 최근 중국에서 어떤 발굴이 진행되었으며, 그것이 어떤 학술적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갑론을박하는 일은 드물지 않다. 중국이 인류 문명의 한 발상지였다는 상식과 거기에서 성장한 문명이 동양문화의 원천이 되었다는 생각은 우리 사회에서 널리 공유된다. 우리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게다가 적어도 근대 이전에는 모든 측면에서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온 중국에 대해 우리가 잘 모른다는 것이 어쩌면 더 이상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우리는 중국문명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황허강이 중국 고대 문명의 발상지라는 아주 오래전에 통용되던 믿음이 여전히 정답으로 취급된다. 학생들이 아직까지 그렇게 배우고 있다. 중국고고학을 연구하는 전문가도 대부분은 중국의 동북지역에 대해 관심을 가질 뿐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그곳에 한국의 선사문화 어쩌면 초기국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 먼저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다들 알고 있듯이 그곳이 중국고고학의 주무대는 아니다. 정작 중국고고학이 핵심으로 다루는 내용에 대해서는 연구하는 사람도 적고, 우리 사회에 축적된 지식의 총량도 넉넉하지 않다. 그러나 인류 문명사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위치, 우리 동양문화와의 밀접한 관계 등을 고려하면 여기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우리 지성계의 수평이 확장되어야 한다.
첨단을 달리는 연구
중국고고학이 다루어야 하는 시공의 범위는 대단히 길고 넓다. 중국문명의 형성과 발전을 다루는 이 책의 시간 폭만 해도 대략 1만 년이나 되며, 대상으로 하는 공간 범위는 어림잡아도 우리나라의 100배에 가깝다. 이처럼 장구하고 광활한 대륙의 문명사는 서구 고고학이 중국에 도입된 이래 약 100년 동안 중국은 물론 전 세계 연구자들이 관심을 두어 온 연구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이 분야에서 쌓아 온 지식체계는 그야말로 광대무변하다. 그것을 제한된 지면 안에 요령 있게 정리해 내는 작업은 참으로 말처럼 간단한 일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 책은 그 어려운 작업을 훌륭하게 해냈다. 이 책을 쓴 두 명의 저자, 스탠퍼드 대학의 류리 교수와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의 천싱찬 원장은 오랜 시간에 걸쳐 중국의 농경문화, 초기국가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 온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가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모두 중국에서 태어나 중국과 미국에서 공부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들은 중국학계의 문헌학적 전통과 서양학계의 연구경향 및 방법론에 관해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이들이 이 책에서 중국에서 출판된 방대한 자료를 세밀하게 또 빠짐없이 검토하면서도 서구학계에서 개발된 최신의 연구이론과 기법을 종횡으로 구사함으로써 중국고고학을 더 이상 ‘구닥다리’가 아닌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저자들이 활용한 기술과 방법만 해도 방사성탄소동위연대를 이용한 연대 측정은 물론 동물고고학, 식물고고학, 지질고고학, 환경고고학, GIS, 위성영상 분석, 식물규산체 분석, 전분립 분석, 석기미세흔 분석 등에 이르기까지 최첨단을 달리고 있다.
중국문명을 보는 눈
지금까지 중국고고학이라 이름 붙인 책이 적잖이 나왔다. 모두 나름의 의미가 있는 저작들이다. 그들과 비교해
저 : 류리
1982년 중국 시베이대학(西北大學)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1994년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6년부터 2010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라트로브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미국 스탠퍼드대학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 신석기시대와 초기국가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State Formation in Early China(2003), The Chinese Neolithic: Trajectories to Early States(2004) 등이 있다.
저 : 천싱찬
1985년 중산대학(中山大學)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후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에서 조리연구원, 부연구원, 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소장, 중국사회과학원 학부위원 등으로 있다. 중국 신석기시대 고고학과 선사시대 고고학사를 주요 연구 영역으로 한다. 류리 교수와 공저한 State Formation in Early China(2003) 외에 『中國史前考古學史硏究(1895-1949)』(1997), 『20世紀中國考古學史硏究論叢』(2009) 등의 저서가 있다.
역 : 김정열
1988년 숭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2007년 중국사회과학원 고고학과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부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으로 근무하였으며 2013년부터 지금까지 숭실대학교 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중국 청동기시대 고고학과 서주시대사를 주로 연구한다. 『서주 국가의 지역정치체 통합 연구』(2012) 등의 저서가 있으며, 역서로는 『동북문화와 유연문명』(2008)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