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재 · 학술
단어 형성 연구의 전통적인 파생·합성·역형성 방법을 폐기하고
새로운 ‘표현론적 방법론’ 제시한 책
슬로바키아 언어학자 파볼 슈테카우어는 단어 형성 연구에서 접두 파생, 접미 파생, 합성, 전환, 역형성, 혼성 등 전통적인 개념들을 폐기하고 ‘표현론적 접근’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슈테카우어는 이 책에서 ‘단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가 아니라 ‘대상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단어 형성의 원리와 법칙(공식), 생산성을 논한다. 언어 소통에서 매우 중요한 ‘단어’의 형성에서 언어 사용자의 명명 욕구가 갖는 의미를 최우선에 놓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단어가 형성되고 사용되고 사라지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한테 유용한 논의가 될 것이다. 특히 신조어의 형성이나 사용 등을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삼고 있는 최근의 국어교육,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단어 형성론 연구나 교육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단어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사용되다가 사라지는가?
사용자의 명명 욕구와 대상의 의미를 우선하는 단어 형성론
표현론적(Onomasiological) 접근은 형식을 구심점으로 하여 언어를 연구하는 해석론적(semasiological) 접근과 대를 이루는 접근법으로, 의미를 구심점으로 하여 언어를 연구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언어학의 한 분야이지만 크게 부각되지 않다가 20세기에 들어 어휘론의 한 분야로 유럽 언어학계에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이 책의 저자인 파볼 슈테카우어가 인지 형태론의 측면에서 조명한 표현론적 접근은 언어 내적 요인에 집중하여 단어의 형성 방식을 탈맥락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일반화된 패턴을 발굴하는 데 천착해 온 단어 형성 연구의 지배적 접근법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서 단어 형성 연구의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단어 형성은 ‘사고의 언표화’라는 면에서 문장 형성과 공통된 방향성을 갖는다. 하지만 새롭게 형성되는 문장에 관심을 갖는 것과 달리 단어는 주로 ‘기억과 사용의 대상’으로 다루어지면서 표현의 맥락에서 활발히 논의되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지금까지의 단어 형성에 대한 교육은 ‘어근, 접사, 합성어, 파생어’로 대표되는 구조 형태론의 개념이 중심축을 이루었다. 개별 화자가 특정 맥락에서 특정 표현 동기를 충족하기 위해 형성한 단어에도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다양한 사회적 소통망을 통해 개인의 언어가 더욱 적극적으로 생산, 공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기존의 단어 형성론이 가진 편중된 형식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언어 공동체, 개별 화자, 단어 형성 맥락’ 등을 포괄하는 풍부한 단어 형성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화자가 대상의 어떤 부분에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단어 형성의 결과가 달라진다는 관점에서 이는 주체적인 학습자를 지향하는 현 문법 교육의 방향에 비추어 상당히 의미 있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과에서 단어 형성론을 배우는 학생들이나 가르치는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책이다.
특정 맥락에서 화자가 부여하는 의미와 표현 동기에서 출발하는 단어 형성
1장에서는 표현론적 이론의 기본적인 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여섯 가지 층위(언어 외적 현실, 개념 층위, 의미 층위, 표현 층위, 명명 층위, 음운 층위)를 포함한 단어 형성의 표현론적 모델을 설명하고, ‘표현론적 구조, 표현론적 어기 및 표지, 표현론적 유형, 표현론적 결합, 형태-의미 할당 원리, 명명 단위’ 등과 같은 기본 용어를 소개한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표현론적 접근’에 대해 개괄하고 있다.
2장에서는 ‘단어 형성 부문’을 소개하면서 언어학 내에서의 범위와 위치를 논의하고, 그 독립적인 지위를 증명한다. 단어 형성 부문과 통사 부문, 어휘 부문의 차이를 밝히고, ‘단어 형성론과 굴절 형태론, 단어 형성 부문과 통사 부문, 단어 형성 규칙과 음운 규칙, 단어 형성 부문과 어휘 부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단어 형성에 관한 표현론적 모델을 제안한다.
3장에서는 단어 형성론, 특히 파생어 형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생산성’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다룬다. 저자는 단어 형성 규칙이 통사 규칙이나 굴절 규칙보다 덜 생산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우 생산적이고 완벽하게 규칙적임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언어 체계 층위에서 일어나는 현상인 ‘생산성’과 발화 층위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빈도’를 더 객관화시키는 ‘효율성’ 개념을 공식화하였다.
4장에서는 표현론적 단어 형성의 관점에서 단어 형성론의 여러 쟁점을 다룬다. 앞의 세 장에서 기술한 이론을 ‘괄호 매김의 역설, 복수의 표현론적 표지를 가진 명명 단위, 외심 합성어, 역형성’과 같은 몇 가지 이론적 문제에 적용한다.
결론에서는 단어 형성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 방식에 비해 표현론적 방법이 가진 장점을 요약한다.
차례
옮긴이의 말
감사의 말
도입
01 단어 형성에 관한 표현론적 접근
1.1. 개관
1.2. 영어 단어 형성에 대한 표현론적 모델
1.3. 사례
02 단어 형성 부문의 위치
2.1. 개관
2.2. 단어 형성론의 범위
2.3. 단어 형성과 통사부
2.4. 단어 형성에서의 양태
2.5. 단어 형성과 굴절
2.6. 단어 형성과 어휘부
2.7. 표현론적 모델과 그 위치
2.8. 어휘부의 위상
03 생산성
3.1. 개관
3.2. 이론적 배경
3.3. 논의
3.4. 제안
3.5. 생산성의 계산
3.6. 생산성, 빈도, 효율성
04 적용
4.1. 괄호 매김 역설은 있는가?
4.2. 복수형의 표현론적 표지를 가진 명명 단위들
4.3. 외심 합성어는 있는가?
4.4. 역형성은 있는가?
결론
미주
참고문헌
저 : 파볼 슈테카우어 Pavol Šekauer
슬로바키아 파볼 요제프 사파릭 대학(P. J. Safarik University) 영어 언어학 교수. 단어 형성에 대한 표현론적 접근에 중점을 두고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 『단어 형성에 대한 표현론적 접근』(1998) 외에 『영어 전환 이론(A Theory of Conversion in English)』(1996), 『단어 형성에서의 예측 가능성 연구(Meaning Predictability in Word-Formation)』(2005), 『세계 언어의 단어 형성(Word-Formation in the World’s Languages)』(2012, 공저), 『단어 형성과 단어 해석의 창의성(Creativity in Word Formation and Word Interpretation)』(2022, 공저) 등이 있다.
역 : 구본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1998)
『한국어 문법 총론 I, II』(2015/2016, 공저)
『개정판 우리말 문법론』(2018, 공저)
『한국어학 개론』(2020, 공저)
역 : 박혜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국어 의미 교육론』(2019, 공저)
「표현론적 관점의 단어 형성 교육 연구」(2019)
「단어형성법 교육 내용 연구」(2010)
역 : 차경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
『어휘 능력』(2019, 공역)
「국어 어휘 수행 전략 교육 연구」(2020)
「감정 어휘 교육 내용 연구」(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