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교재 · 학술
책 소개
“애도는 잊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고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자살 사별자 상담을 위한 애도 상담 워크북』은 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고통을 이해하고, 상담자가 내담자의 건강한 애도를 도울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애도 상담의 이론적 이해, 평가와 사례개념화를 비롯해 아동·청소년을 위한 개입 등 생애주기에 따른 발달 단계별 상담 기술을 상세히 다룬다. 실제 애도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수록하여,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적절한 지지와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출판사 서평
가족을 자살로 떠나보낸 사람들의 슬픔을
어떻게 위로하고 보듬을 것인가
소중한 대상과 이별 또는 사별할 때, 신체적인 기능이나 중요한 물건을 잃게 되었을 때 우리는 그 사람 또는 그것을 ‘상실’했다고 한다. ‘애도’는 이러한 상실의 아픔을 정서, 신체, 인지, 행동 반응으로 표현하는 상태이다. 우리가 무언가를 상실했을 때 느끼는 가장 대표적인 감정은 슬픔이다. 상실로 인한 슬픔은 삶에서 겪는 다양한 변화의 시기마다, 연령에 따라, 개인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상황마다 다르게 경험될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의 자살은 남겨진 이들에게 말할 수 없는 충격과 고통을 남긴다. 그 상실은 단순한 이별이 아니라, 남겨진 삶의 의미마저 흔들리게 한다. 특히 자살 유가족이 겪는 애도는 일반적인 애도와는 또 다른 복합성과 깊이를 지닌다. 자칫하면 오랫동안 고립되고 응어리진 감정 속에 머물게 될 수 있다. 애도는 속히 극복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고인과의 관계를 새로운 방식으로 지속하고, 그 아픔을 삶 속에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통합해 나가는 과정이다. 따라서 애도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를 고인, 그리고 상실로부터 벗어나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있는 자리에 함께 머물며 애도의 보폭을 맞추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살 유가족의 건강한 애도를 돕기 위한
애도 상담의 실제
이 책은 애도 상담 장면에서 유가족을 만나는 전문가들이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워크북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애도에 대한 이론적 이해에서부터 애도 평가, 사례개념화, 상담 전략, 그리고 아동·청소년을 위한 개입까지 상담자를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특히 자살이라는 복잡하고 낙인화된 죽음을 경험한 유가족이 마주하는 애도 과정을 섬세하게 비추었으며, 상담자의 준비와 태도, 문화적 민감성, 애도 상담의 도구 활용, 가족과의 만남 등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담았다.
이 책에서는 애도 상담을 생애주기에 따른 접근으로 다룬다. 성인의 애도와 아동·청소년의 애도는 그 양상과 필요한 개입이 다르기 때문에, 각 발달 단계에 맞는 구체적인 상담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가족 체계 관점에서 애도를 이해하고, 가족구성원 모두가 건강한 애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상담자가 갖춰야 할 지식과 역량, 상담 기법 등을 상세히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으로 내담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Hogan 한국판 애도 반응 척도, 한국어판 복합비애 척도, 한국판 지속비애 척도와 상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지를 풍성하게 수록하였다.
“애도는 잊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고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의 슬픔을 깊이 이해하고, 적절한 지지와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소개하는 이 책은 상담 전문가와 수련생이 애도 상담을 준비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저 : 이혜지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강사, 마음자람연합심리상담센터 센터장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심리학박사)
(전)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객원상담원, 서영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전문상담사
저 : 고효경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남부대학교 학생상담센터 객원상담원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박사 수료)
(전) 광주트라우마센터 상담원
저 : 정지연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남부대학교 학생상담센터 객원상담원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박사 수료)
(전) 광주광역시 남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상담원
저 : 강영신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Northeastern University (상담심리전공 철학박사)
(전)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