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저자
김상배, 박종희, 배영자, 송태은, 신범식, , 이신화, 조동준  저
  • 가격

    23,000 원

  • 출간일

    2019년 08월 30일

  • 쪽수

    442

  • 판형

    170*230

  • ISBN

    9791189946241

  • 구매처 링크

21세기 세계정치의 장에서는 ‘힘’과 ‘돈’뿐만 아니라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문제’가 중요

공공외교, 한일 갈등을 푸는 새 해법으로도 주목


최근 지구화, 정보화, 민주화의 추세와 함께 국제정치학에서는 기술, 정보, 지식, 커뮤니케이션, 문화 등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21세기 세계정치의 장에서는 ‘힘’과 ‘돈’뿐만 아니라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문제’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른바 ‘커뮤니케이션의 세계정치’에 좀 더 적극적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는데, 이러한 변화의 일례로 공공외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물론 이전에도 우리가 지금 공공외교라고 부르는 현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사실 외교와 국제정치의 과정에서 상대방의 정부나 국민과 소통하여 그들을 설득하는 일이 중요하지 않았던 적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는 예전에 비해서 남다른 관심이 커뮤니케이션의 세계정치와 공공외교에 쏟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2016년 <공공외교법>을 제정?시행하고 있으며, 재외공관 주요 공공외교 사업뿐만 아니라 국민참여형 공공외교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공외교법에 의거 공공외교 추진기관으로 지정된 한국국제교류재단은 차세대 민간 외교관을 양성하기 위해 국내 우수 대학에 공공외교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2018년 7개 대학(서울대, 고려대, 서강대, 인하대, 이화여대, 전북대, 숙명여대)이 시범대학으로 선발되었고, 2019년 8개 대학이 추가로 선정되어 15개 대학에서 50여 개의 강좌, 58여 개의 공공외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공공외교(Public Diplomacy)란?


외교부 공공외교 홈페이지(http://www.publicdiplomacy.go.kr)에 따르면, 공공외교란 외국 국민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예술, 가치, 정책,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관계를 증진시키고, 우리의 국가이미지와 국가브랜드를 높여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활동을 말한다.


정부 간 소통과 협상 과정을 일컫는 전통적 의미의 외교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문화?예술, 원조, 지식, 언어, 미디어, 홍보 등 다양한 기제를 활용하여 외국 대중(Foreign Public)에게 직접 다가가 그들의 마음을 사고, 감동을 주어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 공공외교의 기본 컨셉이다.


 


서울대, 건국대, 고려대, 중앙대 등 8인의 교수가 집필한 공공외교 교과서


2019년 1학기부터 서울대학교 학부 교양과정에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라는 과목을 개설하고 이 책의 필자들이 교수진으로 참여하여 가르치기 시작했다. 지난 1학기 동안의 강의를 토대로 이 책을 펴내게 되었다. 기획 단계에서부터 학부생을 위한 교과서를 염두에 두고 집필된 이 책에서는 공공외교의 이론과 역사 이외에도 미디어 외교와 디지털 외교, 개발협력과 과학기술외교 등과 같은 신흥무대 위의 공공외교 이슈들을 다루었으며, 평화외교와 규범외교, 포럼외교 등과 같은 전통무대 위의 공공외교 문제도 포함시켰다. 이 밖에 디아스포라외교와 국민외교와 같이 국가의 안팎에서 진행되는 네트워크 외교도 살펴보았다. 1~2학년 학부생을 독자층으로 겨냥했지만, 난삽한 흥미 위주의 사례보다는 공공외교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길잡이가 되어줄 개념적 기초를 잡아주는 데 내용의 주안점을 두었다.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의 시각뿐만 아니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경제, 역사, 규범, 과학기술, 문화예술, 여론 등 다양한 시각을 통해 공공외교의 의미와 역할을 배울 수 있다.


차례


책머리에


제1장 공공외교의 이론적 이해

I.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II. 공공외교의 개념과 이론

III. 공공외교의 세계정치: 매력론의 시각

IV. 중견국 공공외교 이론의 모색

V. 맺음말 


제2장 공공외교의 역사적 이해

I. 공공외교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II. 공공외교 개념 출현의 시대적 배경

III. 양차대전기와 냉전기의 국가 중심 프로파간다와 공공외교

IV. 탈냉전기의 공공외교의 진화

V. 맺음말: 디지털 시대의 공공외교와 새로운 도전 


제3장 미디어 공공외교와 세계여론

I. 미디어와 공공외교

II. 미디어와 여론의 관계

III. 미디어 공공외교의 역할

IV. 매스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공공외교

V.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공공외교

VI.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공공외교 


제4장 디지털 외교와 공공외교

I. 정보혁명과 외교의 변화

II. 정보혁명과 4차 산업혁명의 이해

III.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외교 변환

IV. 디지털 공공외교의 부상

V. 맺음말 


제5장 개발협력과 경제공공외교

I. 경제적 교류와 공공외교

II. 공공재로서의 국가 브랜드

III. 개발협력외교

IV. 경제외교

V. 맺음말


제6장 과학기술외교와 공공외교

I. 들어가며

II. 과학기술외교의 부상

III. 주요국 과학기술외교

IV. 한국 과학기술외교와 공공외교

V. 맺음말 


제7장 평화외교와 안보공공외교

I. 서론

II. 안보공공외교로서의 PKO

III. 주요국의 PKO 참여 동향과 특성

IV. 안보공공외교로서의 한국 PKO에 대한 평가와 과제

V. 결론 


제8장 국제규범과 공공외교

I. 국제규범이란 무엇인가

II. 국제규범과 공공외교 간의 접점

III. 대인지뢰의 양면성과 대인지뢰금지담론의 출현

IV. 대인지뢰금지규범을 둘러싼 캐나다의 공공외교

V. 맺음말


제9장 세계정치의 장과 공공외교

I. 인류와 지구화의 시작

II. 19세기 지구화와 세계정치의 혁신

III. 현대 세계정치의 장과 공공외교

IV. 맺음말


제10장 디아스포라와 공공외교

I. 디아스포라와 공공외교의 연관성

II.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공공외교적 가능성

III. 디아스포라 공공외교의 역할과 전략

IV. 한국의 디아스포라 공공외교의 과제


제11장 국민외교와 네트워크 공공외교

I. 새로운 방식의 공공외교

II. 세계정치의 변환과 공공외교 패러다임의 변화

III. 네트워크 공공외교: 행위자와 매체의 다양화

IV. 국민외교: 한국의 사례

V. 맺음말 



저 : 김상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 일본 GLOCOM(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s)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정보화와 세계화를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논저로는 『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환』(공편 2006), 『IT시대의 디지털외교』(2005),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2007), 「정보화시대의 제국: 지식/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시각」(2005), 「정보기술과 국제정치이론: 구성적 기술론과 정보세계정치론의 모색」(2003) 등이 있다. 

저 : 박종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국제정치경제와 사회과학 방법론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산하 국제정치 데이터센터장을 맡고 있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대학교(세인트루이스)에서 무역보조금연구와 베이지안 방법론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 시카고대학 정치학과에서 조교수로 부임하며 국제정치경제와 정치학 방법론을 가르쳤으며 미시간대학의 ICPSR(2008-2012 여름)에서 베이지안 방법론을 가르쳤다. 베이지안 전환점 모형에 대한 연구로 2010년 미국정치학회 방법론 분과 최우수논문상인 해롤드가즈넬상을 수상했으며 2013년에는 MCMCpack으로 미국정치학회 방법론 분과가 수여하는 통계소프트웨어상을 수상하였 다.

주요 방법론 관련 저작으로는 “Bayesian Inference in Political Science” (The SAGE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Detecting Structural Changes in Longitudinal Network Data” (Bayesian Analysis 2020), “Bayesian Approach to Multilayer Stochastic Block Model and Network Changepoint Detection” (Network Science 2017), “A Unified Method for Dynamic and Cross-Sectional Heterogeneity: Introducing Hidden Markov Panel Model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등이 있다.





저 : 배영자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기술표준의 정치: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중국 AVS 사례〉, 〈공공외교로서 과학기술외교: 이론적 이해와 현황〉 등이 있다. 


저 : 송태은


국립외교원 조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 박사

2021, “신기술 무기의 안보적 효과와 주요 쟁점.” 『주요국제문제분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21,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국가의 사회감시 체계 현황과 주요 쟁점.” 『정책연구시리즈』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저 : 신범식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저서로는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편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신거대게임으로 본 유라시아 지역질서의 변동과 전망",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등이 있다. 


저 :

저 : 이신화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겸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 유엔사무총장 평화구축기금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The United Nations, Indo-Pacific and Korean Peninsula: An Emerging Security Architecture(Routledge, 2023, 책임편집), “팬데믹 시대 인간안보 국제협력: 자유주의 국제질서 복원을 위한 소고”(2021) 등이 있다.



저 : 조동준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주베트남 한국 공관원 송환을 위한 신호게임, 1975-1980〉(조동준·차지현), 〈인류공동의 유산의 국제제도화 과정〉 등이 있다.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