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2019가야학술제전학술총서 1~5

저자
국립김해박물관  편
  • 가격

    80,000 원

  • 출간일

    2020년 07월 30일

  • 쪽수

    251

  • 판형

    188*257mm / 무선제본

  • ISBN

    9791189946678

  • 구매처 링크

국립김해박물관 2019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 발간(총 5권)
- 그동안 제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가야사의 가치를 재조명
- 가야사 연구 복원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1998년에 개관한 국립김해박물관(관장 오세연)은 가야의 문화유산을 집대성하는 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국립박물관 내에서 가야사 관련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국립김해박물관은 2019년에 개최한 ‘국립김해박물관 가야학술제전’의 성과를 보완한 학술총서를 발간하였다. ‘2019 가야학술제전 학술총서’는 전 5권으로 △삼한의 신앙과 의례 △문자로 본 가야 △한국 고대의 말갑옷 △가야 사람 풍습-편두 △가야 직물로 구성되었다.
1권 『삼한의 신앙과 의례』는 가야 선주민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기획하였다. 제사와 의례 관련 유물을 대상으로 삼한시대 사상과 관념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가야 이전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누구였는지, 그들은 가야 건국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들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어떤 사상과 관념을 갖고 있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이러한 가야 선주민 연구는 가야사 복원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권 『문자로 본 가야』는 가야사 기초자료 정리의 일환이다. 최근까지 밝혀진 가야 문자자료의 연구 쟁점과 과제를 조명한다. 문헌자료가 빈약한 가야 문자자료의 사료적 가치와 중요 쟁점 사항을 논의하였다. 가야와 관련된 문자 자료를 종합적으로 다룬 첫 연구 성과물이라는 점에서 가야사의 실체를 밝히는 데 보탬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3권 『한국의 고대 말갑옷』은 가야 중장기병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에 해당한다. 오늘날 가야의 여러 유적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무기와 무구는 당시 치열했던 가야인의 삶을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가야인의 기술문화를 잘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새로운 자료가 증가하고, 논의가 활발한 국내외 고대 말갑옷 자료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4권 『가야 사람 풍습 – 편두』는 예안리 유적에서 출토된 인골을 중심으로 편두라는 가야의 독특한 풍습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문헌 자료상에는 문신과 편두, 발치 등 다양한 가야의 풍습이 전해지지만 실증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그간 가야의 풍습에 대한 고고학적으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문헌기록의 내용과 김해 예안리 유적 발굴 이후 40년간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편두의 고고학적인 양상과 문화인류학적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 김해 예안리 유적 출토 편두 인골. 편두: 가야시대의 김해 예안리 유적에서 확인된 이마를 눌러 머리 모양을 변형시키는 풍습. 우리나라에서는 김해지역에서만 확인되었다.(4권 41쪽)

5권 『가야 직물』은 가야 직물의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복원을 위한 연구 방법론을 검토하기 위해를 마련하였다. 이 책은 이제까지 가야 직물을 직접 조사하고 확인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야 직물의 복원이라는 주제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또한, 부족한 자료의 틈을 메우기 위해 직물 이외의 다양한 유물을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가야 직물의 대외교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확인된 가야 직물과 출토 유적,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소개하고 있다.

각 권 차례


01 『삼한의 신앙과 의례』

1. ‘삼한의 신앙과 의례’ 연구의 동향과 과제
I. 머리말
II. 인식의 형성과 변천
III. 연구의 동향과 성과
IV. 자료의 해석과 이해
Ⅴ. 맺음말-과제와 전망
2. 기원전 1세기~기원후 3세기 동북아시아 마구 매장의례
I. 머리말
II. 중국 한대(漢代) 중원지역의 거마 및 마구 매장의례
III. 낙랑의 마구 매장의례
IV. 삼한의 마구 매장의례
V. 맺음말
3. 고고자료로 본 마한 의례
I. 머리말
II. 의례 개념
III. 마한 의례 유형
IV. 마한 의례 성격
V. 맺음말
4. 진·변한의 신앙과 의례
I. 머리말
II. 자료 읽기, 관찰과 기록
III. 신앙과 종교의례 양상의 몇 가지
IV. 맺음말
5. 변한지역 목관묘의 편년과 사회변동 양상
I. 머리말
II. 종합편년
III. 청동기 부장과 의미
IV. 맺음말
6. 매장의례로 본 변한지역 목관묘의 토기 부장 양상과 그 특징
I. 머리말
II. 변한지역 목관묘와 축조 기간
III. 유적별 토기 부장·봉헌 양상
IV. 매장의례로 본 목관묘 토기 부장·봉헌의 특징과 의미: 음식봉헌 의례
V. 변한지역 목관묘群 토기 의례의 비교
VI. 맺음말
7. 삼한시대 영남지역의 칠기
I. 머리말
II. 칠기의 출현과 확산
III. 영남지역 칠기의 기종별 특징과 부장 양상
IV. 고대 칠기 부장의 사회적 의미
V. 맺음말


02 『문자로 본 가야』

1. 가야, 기록과 문자
I. 들어가며
II. 문헌기록
III. 새겨진 문자
IV. 나오며
2. 광개토왕비문 가야 관계 기사와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
I. 머리말
II. 광개토왕비문의 가야 관계 기사 검토
III.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과 임나가라
IV. 맺음말
3. 합천 매안리비의 분석과 건립 배경
I. 머리말
II. 매안리비의 형태상 특징과 판독
III. 매안리비를 둘러싼 몇 가지 논점 검토
IV. 6세기 대가야의 정세와 매안리비의 건립 배경
V. 맺음말
4. 대가야 ‘대왕’명 유개장경호의 문자 새로 보기
I. 머리말
II. 출토지 문제, 고령인가 합천인가
III. 좌서의 시원, 남조
IV. ‘대왕’명 문자의 용도
V. 맺음말
5. ‘下部思利利’銘 토기와 대가야
I. 머리말
II. ‘하부사리리’명 토기의 발견
III. ‘하부사리리’명 토기를 통해 보는 대가야의 부
IV. 맺음말


03 『한국 고대의 말갑옷』

1. 삼국시대 마갑의 구조와 계보
I. 머리말
II. 마갑의 구조
III. 마갑의 계보와 전개 과정
IV. 맺음말
2. 가야·신라 권역 출토 마주의 구조 분석과 의미
I. 연구사 검토와 과제
II. 가야·신라 권역 출토 마주의 구조 분석
III. 가야·신라 권역 출토 마주의 부장 양상과 의미
IV. 맺음말-향후 연구 과제
3. 4~6세기 중장기병 문화의 유행과 신라·가야의 대응 전략
I. 서론: 중장기병이란?
II. 4~6세기 동아시아 중장기병 문화의 유행
III. 중장기병 문화에 대한 신라·가야의 대응 전략
IV. 결론: 사실과 희망 사이
4. 후나바루고분(船原古墳)의 마주에 대하여
I. 머리말
II. 후나바루고분과 유물매납갱
III. 하나바루고분의 마주
IV. 맺음말
5. 함안 마갑총 말갑옷 제작기술 복원 연구
I. 머리말
II. 마갑총 출토 마갑 자료 재검토
III. 안장 복원안
IV. 복원 및 착장안


04 『가야 사람 풍습-편두』

1. 金海 禮安里古墳群의 學史的 位置
2. 禮安里遺蹟 偏頭 人骨 出土 古墳의 性格 檢討
I. 序言
II. 禮安里遺蹟 人骨 出土 遺構의 檢討
III. 禮安里遺蹟 偏頭의 性格
IV. 結語
3. 가야 고분과 순장인골
I. 머리말
II. 가야의 순장묘와 순장인골
III. 가야의 순장인골을 통해 알 수 있는 것
IV. 맺음말
4. 형질분석으로 본 예안리 인골
I. 머리말
II. 연구대상과 방법
III. 결과와 분석
IV. 결론
5. 유라시아 편두의 분포와 의미
I. 서론: 편두란 무엇인가?
II. 편두 연구 현황과 전개 양상
III. 4~7세기 유라시아 지역의 편두
IV. 유라시아 편두의 특징과 의미
V. 결론
6. 예안리유적 출토 편두의 특징과 성격
I. 시작하며
II. 예안리 편두의 분석
III. 예안리유적에서 확인되는 편두 풍습의 의미
IV. 마치며


05 『가야 직물』

1. 출토 가야직물의 고고학적 성격
I. 들어가며
II. 가야직물의 연구 성과
III. 연구 결과로 본 가야직물의 성격
IV. 정리하며
2. 대외교류사적 관점에서 본 고대 Ikat 직물과 가야직물과의 관련성
I. 서언
II. 가야시대 대외교류
III. 고대 아시아 지역의 Ikat 직물
IV. 한국 고대 Ikat 직물
V. 결언
3. 가야 고분군 출토 직물
I. 머리말
II. 직물 출토 가야 고분군
III. 가야 직물의 특성
IV. 바느질 기법
V. 고대 직물 복원 사례
VI. 맺음말
4. 고대직물의 연구방법론
I. 머리말
II. 연구방법
III. 맺음말 

편 : 국립김해박물관

2019가야학술제전학술총서 01~05 편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