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김정은의 북한과 전략

저자
정영철, 강혜석, 안경모, 전영선, 장철운, 김기헌, 최은주, 변학문, 이경수, 최형화  저
  • 가격

    20,000 원

  • 출간일

    2021년 04월 30일

  • 쪽수

    495

  • 판형

    140*215mm

  • ISBN

    9791167070067

  • 구매처 링크

김정은 시대, 북한의 변화를

이데올로기, 경제, 과학기술, 군사, 사회문화, 그리고 중앙과 지방의 관계로부터 살펴본다


지금까지 우리는 북한에 대해 지나치게 핵과 미사일 문제에만 집중해왔다. 2012년 김정은의 등장 이후, 2017년 화성-15형 미사일 발사 시험, 그리고 마침내 ‘핵무력 완성’을 선언하기까지 미친듯이 폭주해왔던 것을 생각하면, 이러한 연구-분석 경향이 잘못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실제 김정은 등장 이후, 4차례에 걸친 핵시험과 광명성 2호부터 시작하여 4호까지의 위성 발사 시험, 북극성, 화성 등의 미사일 발사 시험 등이 정신없이 이어졌다. 이러한 사정은 우리로 하여금 그 무엇보다 먼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에 집중하도록 만들었고, 실제 핵과 미사일의 뒤편에서 벌어지고 있는 북한의 이데올로기, 정치, 경제, 과학, 사회문화 등에 대해서는 눈을 감도록 만들었다.

김정은의 등장은 북한 사회에 새로운 세대, 새로운 문화, 즉 새로운 시대가 등장했음을 의미한다. 실제, 김정은의 등장 이후, 북한 사회는–비록 우리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여러 방면에서 변화하고 있다. 김정은 등장 초기, 마치 충격요법(shock therapy)처럼 다가온 모란봉 악단의 등장에서부터, 광명성 3호기-1호기 발사 실패를 곧바로 인정하는 모습, 부인 리설주의 등장과 최고지도자 부부가 대중 앞에서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등, 이전에는 상상하기 힘들었던 북한의 모습이 나타났다. 단지 문화적인 부문만이 아니라 경제적으로는 전국의 주요 지점을 특구-개발구로 지정하고, 기업과 생산단위에 자율권을 대폭적으로 확대하는 모습, 시장을 활성화시키고 시장을 통한 경제적 활력을 추구하는 모습 등은 형식적인 변화가 아니라 내부적으로 ‘새로운 북한’을 만들고자 하는 김정은의 전략이 조용히 그러나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것이다.


책의 내용

1장 전략적 선택과 북한 사회주의 미래(정영철)는 김정은 시대의 국가전략을 살펴보고 있다. 지금까지의 북한의 딜레마를 ‘안보-발전’의 문제에 있다고 보고, 김정은의 새로운 국가전략은 안보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그리고 경제발전에의 매진이라고 분석한다. 이를 위해 김정은은 1990년대 이래의 선군정치를 사실상 마감하고 ‘발전’을 중심에 두는 전략으로 전환했다고 진단한다.

제2장 김정은 시대 통치 이데올로기(강혜석·안경모)는 김정은 시대의 이데올로기적 변화를 다루고 있다. 김정일 시대의 ‘선군’을 뒤로하고, ‘국가와 인민’을 전면에 내세우는 이데올로기적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올 초의 8차 당대회에서 천명한 ‘인민대중제일주의 정치’ 역시 그와 같은 연속선에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북한의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변화는 혁명, 안보 등에서 발전, 그리고 복지로의 변화를 함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제3장 사회주의 문명국으로의 길, 전망과 과제(전영선)는 지난 7차 당대회에서 제기했던 ‘사회주의 문명국’ 건설을 다루고 있다. 김정은 시대의 문화는 과거 김정일 이전 시기의 ‘개인 희생’에 기초한 집단주의 문화에 비해 ‘자신의 욕망을 분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러면서 새로운 시대에 맞게 의식의 전화, 과학과 교육을 통한 사회 발전을 추구하면서 세계의 당당한 국가로 나서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진단한다.

제4장 김정은 시대 북한군의 변화(장철운)는 핵과 미사일 이 외에 북한의 군사 부문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고 있다. 핵과 미사일의 고도화에 집중하면서 그간 소홀히 다루어져왔던 북한 군의 모습이 지난 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을 통해 재래식 전력의 현대화에서도 상당하게 진척되어 왔음을 지적하고, 이를 가능케 했던 요인들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김정은 시대의 군의 변화는 이미 김정일 시기부터 추진되어 왔을 가능성이 높고, 우리가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제부터라도 핵과 미사일 이 외에 북한군의 변화를 진지하게 따져보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5장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실시 이후 ‘재생산과정’과 ‘화폐회전’ 분석(김기헌)은 북한의 경제를 살펴보고 있는데, 특이하게도 ‘화폐’를 중심에 놓고 북한 경제를 분석하고 있다. 사회주의 국가 북한에서도 생산과 재생산에 ‘화폐’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일명 SFC 모델(Stock-Flow Consistency Model)을 통해 북한 경제를 화폐의 생산과 흐름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지금까지 북한의 경제를 계획과 시장, 공급과 부족의 측면에서 주로 논의해왔던 경향을 벗어나 새로운 ‘북한 경제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6장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제도 변화(최은주)는 북한의 경제제도가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추적하고 있다. 계획과 시장, 분권화와 자율성, 국가의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북한의 경제제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북한 경제의 변화는 시장에 따라 가는 정부가 아니라 오히려 정부가 주도하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제7장 김정은 시대 북한 과학기술 중시 정책의 현황과 전망(변학문)은 김정은 시대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평가와 전망에 대한 것이다. 김정은 시대의 두드러진 특징의 하나는 과학기술을 대단히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정은 시대의 10여 년에 걸친 과학기술에 대한 강조는 소기의 성과를 내는 데서는 실패한 것으로 평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의 발전, 과학교육에서의 진전, 생산의 현대화와 정보화 등의 성과를 부정하기는 어렵다. 대외적인 제재와 고립 속에서 북한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과학기술을 강조할 것이다.

제8장 북한 지방정부 재정유인의 명과 암(이경수)은 북한의 지방을 다루고 있다. 김정은 이후의 최근의 경향은 북한에서 지방에 대한 자율성의 증대, 그리고 지난 8차 당대회에서는 ‘지방의 자립화 강화’를 5개 년 계획의 중요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지난 2012년 수정된 지방예산법을 중심으로 중앙-지방 관계의 변화, 그리고 지방 자율성의 증대가 미친 영향을 예산, 지방 경제, 그리고 지방 자원의 효율적 동원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세계정치WORLD POLITICS』 시리즈

국제정치에 관한 이론과 같은 기초적인 연구에서부터 군사와 안보, 정치경제, 환경과 과학기술 등의 기능적인 분야와 주요국의 외교정책, 동아시아 국제 관계 등 지역적인 주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세계정치』 시리즈는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가 기획하고 사회평론아카데미가 펴낸다. 한국의 국제정치학이 과도한 정책지향성을 극복하고, 세계정치의 보편성과 동아시아와 한국의 경험과 관점을 균형 있게 바라보면서 한국 국제정치학의 정체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 발간된 19권(젠더와 세계정치), 20권(국제정치학 방법론의 다원성), 21권(동아시아의 보편성과 특수성), 25권(국제정치사상: 다원적 접근과 보편적 교훈)은 2014년, 2015년, 2017년 연속으로 세종도서 학술부문(구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되어 『세계정치』 시리즈의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저자 소개>

책임편집

정영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지은이

정영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

논저 『평화의 시선으로 분단을 보다』, 『김정은 시대 북한의 변화』, 『공존의 시선으로 남북을 잇다』

강혜석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구중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북한학 연계) 졸업,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북한의 민족건설과 두 개의 ‘민족론’: 통일론과의 긴장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통치담론 변화와 ‘국가’의 부상: ‘김정일애국주의’와 ‘우리 국가제일주의’를 중심으로”, “사회협약의 정치와 한반도 평화: 구성주의를 통한 전제조건 재검토 및 평화와의 접목”, “북한 민족주의와 젠더: 민족 재생산의 주체로서의 여성”

안경모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동 대학원 정치학 박사

논저 “김정은 시대 북한 정치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 당-국가체제적 속성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의 대남전략(2018-2020): ‘세 가지 기둥’과 ‘정면돌파전’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전략 분석(2008-2016): ‘편승’에서 ‘균형’으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전영선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박사

논저 “사회주의 미풍양속과 준법기풍으로 본 북한의 문화검열”, “Looking Back up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on Cultural Heritage, and Future Prospects”,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8』

장철운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졸업,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논저 『한반도 비핵·평화 프로세스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북한군 상비병력 추정치에 관한 재평가 제안”, “북한의 핵·미사일 과학기술 발전과 비핵화 프로세스 전망”

김기헌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기획실장

고려대 경제학과 졸업,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경제) 박사

논저 “북한 화폐의 ‘고전적’ 순환 메커니즘 분석: ‘화폐생산경제로서의 북한 경제’에 대한 이해”, “남북 교류의 제도화와 저작권 협력의 역할”, Studies on the North Korean Monetary Economy in the Kim Jong-un Era

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경제학 박사

논저 『김정은시대 경제정책-101가지 질문·답변』(공저), 『공존의 시선으로 남북을 잇다』(공저), Demystifying North Korean Economy(공저)

변학문

겨레하나 평화연구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 박사

논저 “북한의 ‘과학기술 강국’ 구상과 남북 과학기술 교류협력”, “김정은 정권 ‘새 세기 산업혁명’ 노선의 형성 과정”, “1960년대 초 북한의 기술발전계획과 기술혁신의 제도화 시도”

이경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The Border Region in the Sino-North Korean Trading Networks: with a focus on Dandong, China”, “The Incentive System of th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a group-based Mobilization: Focusing on South Korea’s Saemaul Movement and North Korea’s Chollima Jakupban Movement”

최형화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석사

지린 대학( Jilin University) 행정학원(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국제정치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저 : 정영철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섬유공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학 박사

논저 『평화의 시선으로 분단을 보다』, 『김정은 시대 북한의 변화』, 『공존의 시선으로 남북을 잇다』

저 : 강혜석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구중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북한학 연계) 졸업,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북한의 민족건설과 두 개의 ‘민족론’: 통일론과의 긴장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통치담론 변화와 ‘국가’의 부상: ‘김정일애국주의’와 ‘우리 국가제일주의’를 중심으로”, “사회협약의 정치와 한반도 평화: 구성주의를 통한 전제조건 재검토 및 평화와의 접목”, “북한 민족주의와 젠더: 민족 재생산의 주체로서의 여성”

저 : 안경모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동 대학원 정치학 박사

논저 “김정은 시대 북한 정치체제 변화에 대한 분석: 당-국가체제적 속성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의 대남전략(2018-2020): ‘세 가지 기둥’과 ‘정면돌파전’을 중심으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전략 분석(2008-2016): ‘편승’에서 ‘균형’으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저 : 전영선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박사

논저 “사회주의 미풍양속과 준법기풍으로 본 북한의 문화검열”, “Looking Back up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on Cultural Heritage, and Future Prospects”,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8』

저 : 장철운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 졸업,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박사

논저 『한반도 비핵·평화 프로세스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북한군 상비병력 추정치에 관한 재평가 제안”, “북한의 핵·미사일 과학기술 발전과 비핵화 프로세스 전망”

저 : 김기헌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기획실장

고려대 경제학과 졸업,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경제) 박사

논저 “북한 화폐의 ‘고전적’ 순환 메커니즘 분석: ‘화폐생산경제로서의 북한 경제’에 대한 이해”, “남북 교류의 제도화와 저작권 협력의 역할”, Studies on the North Korean Monetary Economy in the Kim Jong-un Era

저 : 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경제학 박사

논저 『김정은시대 경제정책-101가지 질문·답변』(공저), 『공존의 시선으로 남북을 잇다』(공저), Demystifying North Korean Economy(공저)

저 : 변학문

겨레하나 평화연구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 박사

논저 “북한의 ‘과학기술 강국’ 구상과 남북 과학기술 교류협력”, “김정은 정권 ‘새 세기 산업혁명’ 노선의 형성 과정”, “1960년대 초 북한의 기술발전계획과 기술혁신의 제도화 시도”

저 : 이경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The Border Region in the Sino-North Korean Trading Networks: with a focus on Dandong, China”, “The Incentive System of th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a group-based Mobilization: Focusing on South Korea’s Saemaul Movement and North Korea’s Chollima Jakupban Movement”

저 : 최형화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석사

지린 대학( Jilin University) 행정학원(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국제정치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