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상담행정과 정책

저자
김인규, 김동일, 김소아, 노성덕, 손재환, 유현실, 이호준  저
  • 가격

    23,000 원

  • 출간일

    2021년 06월 28일

  • 쪽수

    563

  • 판형

    171*235

  • ISBN

    9791167070135

  • 구매처 링크

상담행정과 정책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교과서

 

이 책은 현재 한국 상담계에 상담 서비스 운영에 대한 표준적인 모델이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여러 상담 현장에서 다양한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그것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모델이 없고, 특히 정부 정책 수행과 상담기관 운영에 필수적인 행정 관련 시스템이나 절차, 양식이 각기 달라 상담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또한 많은 상담자와 상담수련생들이 내담자를 만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만 초점을 둘 뿐, 그러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행정적 측면을 소홀히 하여 불필요한 오해를 받기도 한다. 이에 이 책에서는 우선 상담행정의 개념과 범위를 살펴보고, 현재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여러 상담 현장에 관계되는 법률과 제도, 정책을 알아본 뒤, 다양한 상담 현장에서 진행되는 상담행정의 실제적인 절차와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상담행정과 상담조직의 개념을 제시하고, 공공상담조직과 민간상담조직의 특성을 다루었다. 2장에서는 상담 관련 법률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상담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모법(母法)으로서 상담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장에서는 공공상담정책의 현황과 민간상담 사업의 운영 및 상담 단체를 통해 상담정책 전반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상담자격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었고, 5장에서는 상담자가 갖춰야 할 직무역량과 상담자의 직무소진에 대해 다루었다. 6장에서는 상담행정 차원에서 상담자가 준수해야 할 상담윤리를 탐색하였다.

7장과 8장에서는 국내 공공상담기관의 행정 실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기획-진행-종결에 이르는 상담 사업의 전체 과정뿐만 아니라 인사관리, 복무관리, 재정관리, 정보 및 자료 관리 등 공공상담기관의 상담자가 수행해야 하는 행정 업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9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청소년상담기관인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현황과 주요 행정 업무를 소개하였다. 10장과 11장은 위기상황에 놓인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Wee) 프로젝트를 다룬다. 위(Wee) 프로젝트가 실시된 목적과 배경을 개관하고, 위(Wee) 클래스와 위(Wee) 센터, 위(Wee) 스쿨의 실무를 상담 업무와 행정 업무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12장에서는 대학상담센터의 기존 운영모델 및 국내외 대학상담센터 운영 사례를 소개한 뒤, 대학상담센터 운영모델의 기본 방향과 세부 내용을 제안하고, 대학상담센터에서 수행하는 업무들을 행정 실무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부록으로 제공하는 상담행정 관련 서식은 상담 분야에서 이뤄지는 행정 업무의 실제 절차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은 상담 분야 대학 교수, 상담정책기관 중견 관리자, 상담기관장 등 상담 전문성과 실무경험을 두루 갖춘 분들이 저자로 참여하여 상담행정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과 실제적인 내용을 충분히 담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상담 현장에 있는 상담 실무자들의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담사를 지망하는 상담 전공 학생과 상담수련생들이 상담 현장을 익히고 준비하는 교재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차례

 

서문 4

 

Chapter 01 상담행정과 상담조직 11

1. 상담행정 13

1) 상담행정의 개념 13

2) 상담행정의 원리 17

2. 상담조직 21

1) 상담조직의 개념 22

2) 조직의 유형 23

3. 공공상담조직과 민간상담조직 30

1)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비교 31

2) 공공상담조직의 특성 35

3) 민간상담조직의 특성 44

 

Chapter 02 상담법 51

1. 상담 분야 현행 법률 53

1) 현황 53

2) 법률에 명시된 상담기관 66

3) 법률에 명시된 상담 인력 71

2. 상담 법제화를 위한 노력과 과제 77

1) 상담 법제화를 위한 노력 78

2) 상담사법(안)의 내용 79

3) 심리상담 모법 제정을 위한 과제 82

 

Chapter 03 상담정책 85

1. 공공상담정책의 현황 87

1) 학교상담정책(교육부) 87

2) 청소년상담정책(여성가족부) 91

3) 아동상담정책(보건복지부) 94

4) 가정상담정책(여성가족부) 100

5) 노동·직업상담정책(고용노동부 주관, 부처 연합) 103

6) 여성상담정책(여성가족부) 105

7) 중독상담정책(보건복지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107

8) 군상담제도(국방부) 109

9) 범죄피해자상담제도(경찰청·법무부) 112

10) 이혼숙려상담제도(법무부) 116

11) 심리상담 바우처 사업 117

12) 상담 분야의 NCS 120

2. 민간상담 사업의 운영과 상담 단체 122

1) 민간상담 사업의 운영 122

2) 상담 단체 현황 124

 

Chapter 04 상담자격 131

1. 상담사의 구분 133

2. 상담자격 136

1) 상담자격의 종류 137

2) 국가자격 138

3) 민간자격 161

3. 상담자격 제도의 발전 방안 173

1) 국가자격의 문제점 174

2) 민간자격의 문제점 176

3) 상담자격 제도의 발전 방안 178

 

 

Chapter 05 상담자의 직무역량과 조직적응 189

1. 직무역량 191

1) 직무역량의 개념 191

2) 상담자 직무역량 모델 192

3) NCS와 상담 직무역량 196

2. 조직적응 203

1) 조직적응의 개념 203

2) 조직적응의 지표 204

3) 상담자의 조직적응 205

3. 조직 정체성과 전문직 정체성 207

1) 조직 정체성과 전문직 정체성의 개념 207

2) 상담자의 조직 정체성 209

3) 전문직의 개념과 특성 210

4)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 213

5)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조직 정체성 갈등 216

4. 직무소진과 직업소명 217

1) 직무소진의 개념 218

2) 상담자의 직무소진 221

3) 상담자의 직업소명 224

 

Chapter 06 상담윤리 229

1. 주요 상담윤리강령 231

1) 한국상담학회 윤리강령 231

2) 한국상담심리학회 윤리강령 233

2. 상담윤리의 행정적 차원 235

1) 상담사 선발 및 역량관리 236

2) 상담 수행에 대한 관리 239

3) 내담자 스크리닝 241

4) 주지된 동의 243

5) 심리검사 244

6) 상담 내용 기록 및 보관 247

7) 비밀보장과 그 한계 248

8) 다중 관계 250

9) 홍보 활동 252

10) 상담기관 운영 253

3.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과 윤리문제 254

1)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255

2) 윤리문제 해결 지침 261

3) 윤리문제 신고 절차 263

한국상담학회 윤리강령 및 시행세칙 원문 268

한국상담심리학회 윤리강령 및 시행세칙 원문 284

 

Chapter 07 공공상담기관 행정의 실제 I 309

1. 공공상담기관의 현황과 운영 근거 311

1) 공공상담기관의 현황 311

2) 공공상담기관의 운영 근거 313

2. 상담 사업의 기획 323

1) 상담 사업 기획의 중요성 324

2) 상담 사업 기획의 동기 326

3) 수요 예측 328

4) 콘텐츠 구성과 수행 방식 결정 328

5) 예산 확보 및 인력 배치 계획 330

6) 사업계획서 작성 332

3. 상담 사업의 진행과 종결 334

1) 상담 사업의 홍보 335

2) 상담 사업의 진행 336

3) 상담 사업의 종결보고 338

4. 상담 사업의 서비스 질 340

1) 서비스 질의 의미 340

2) 서비스 질의 관리 342

 

Chapter 08 공공상담기관 행정의 실제 II 345

1. 인사관리 347

1) 직원 선발 348

2) 부서 배치 및 업무 배정 354

3) 보수 및 복리후생 354

4) 교육훈련 357

2. 복무관리와 평가 364

1) 근무시간 364

2) 휴가 365

3) 직원 평가 367

4) 승진 369

5) 포상과 징계 372

3. 재정관리 374

1) 재원 확보 374

2) 예산 계획 377

3) 예산 집행 378

4) 결산 보고 383

4. 정보 및 자료관리 384

1) 정보와 자료 384

2) 상담기록 385

3) 보안 387

4) 개인정보보호 388

 

Chapter 09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상담행정 실무 393

1.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개관 395

1) 역사 395

2) 설치 근거 및 기능 398

3) 지역 내 역할 399

4) 상담자의 역할 405

2.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사업 추진체계 407

1) 여성가족부 408

2)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409

3) 청소년상담복지센터 409

4) 청소년안전망 필수연계기관 411

3.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운영 414

1) 설치 기준 414

2) 조직 416

3) 인력 417

4) 근무조건과 업무상 주의사항 420

4.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주요 사업과 행정 421

1) 청소년안전망 422

2)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428

3)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업 431

 

Chapter 10 위(Wee) 프로젝트의 상담행정 실무 I 437

1. 위(Wee) 프로젝트의 개관 439

1) 실시 목적과 법적 근거 439

2) 실시 배경 440

2. 위(Wee) 프로젝트의 체계 442

1) 추진체계 442

2) 기관별 기능 및 현황 444

3. 위(Wee) 프로젝트의 상담 인력 447

1) 전문상담(순회)교사 447

2) 전문상담사 451

 

Chapter 11 위(Wee) 프로젝트의 상담행정 실무 II 453

1. 위(Wee) 클래스의 상담행정 실무 455

1) 상담 업무 455

2) 행정 업무 460

2. 위(Wee) 센터의 상담행정 실무 465

1) 상담 업무 465

2) 행정 업무 470

 

Chapter 12 대학상담센터의 상담행정 실무 481

1. 대학상담센터의 개관 483

1) 설립과 현황 483

2) 역할 485

2. 대학상담센터의 운영 형식 486

1) 대학상담센터의 운영모델 개관 487

2)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492

3) 대학상담센터 운영 사례 494

3. 대학상담센터의 운영모델 탐색 507

1) 역할과 기능 508

2) 지원 환경 508

3) 인적 자원 509

4. 대학상담센터의 운영모델 제안 511

1) 대학상담센터 운영모델의 개관 512

2) 기본형 513

3) 표준형 518

5. 대학상담센터의 상담행정 실무 521

1) 접수 면접 521

2) 개인상담 523

3) 집단상담 523

4) 심리검사 524

5) 위기상담 525

6) 교육 및 연구 527

 

부록 상담행정 관련 서식 531

1.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서식 532

2. 위(Wee) 클래스 서식 537

3. 대학상담센터 서식 541

 

참고문헌 550

찾아보기 559

저 : 김인규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저서 및 역서로 『한국의 학교 상담 체제』 (2011), 『상담과 법』 (2020), 『인간의 학습』 (2017), 『제럴드 코리에게 배우는 성장하는 상담전문가의 길』 (2014) 등이 있다.

저 : 김동일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

저서 및 역서로 『동물매개 교육지도사』 (2021), 『DSM-5에 기반한 상담 및 심리치료 플래너』 (2020), 『지능이란 무엇인가』 (2019), 『청소년 이해를 위한 심리학』 (2018) 등이 있다.

저 : 김소아

한국교육개발원 위(Wee) 프로젝트연구지원센터 소장

저서로 『교육심리학』 (2009, 공저), 『교육심리의 이론과 실제』 (2007) 등이 있다.

저 : 노성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경영기획본부장

저서 및 역서로 『지역사회기반 청소년상담의 실제』 (2018), 『학교상담과 학교사회사업 치료계획서』 (2017), 『학교 또래상담』 (2014), 『상담심리학』 (2014) 등이 있다.

저 : 손재환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공저서로 『청소년 상담: 이론과 실제』 (2판) (2020)가 있다.

저 : 유현실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교수

저서 및 역서로 『반듯한 아이의 범죄심리』 (2021),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실제』 (2020), 『학습장애 위험군 아동의 조기선별을 위한 읽기검사 표준화 연구』 (2013) 등이 있다.


저 : 이호준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전주대학교 수퍼스타칼리지의 학장을 맡고 있다.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