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비판적 언어 연구와 국어교육

저자
김규훈  저
  • 가격

    30,000 원

  • 출간일

    2024년 11월 15일

  • 쪽수

    328

  • 판형

    165*235mm

  • ISBN

    979-11-6707-166-8 (93370)

  • 구매처 링크

비판적 언어 연구와 국어교육의 접점을 찾다

국어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론 연구서

 

비판적 언어 연구와 국어교육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언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탐구하는 비판적 언어 연구의 분석 틀을 국어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 연구서이다.

국어교육은 텍스트의 비판적 수용과 창의적 생산을 핵심 명제로 두고 있다. 이는 국어교육이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의 언어 사용을 바탕으로, 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함을 말한다. 국어교육 현장에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 내용과 실제적인 실천 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어 교사로 십수년 간 교육 현장을 경험하고 현재 대학교수로서 국어교육을 연구하고 있는 저자는 이런 문제의식 아래 비판적 담화 분석(CDA)’인지언어학그리고 생태언어학의 방법론을 빌려, ‘비판적 국어교육의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국어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은 필자의 의도를 파악해 봅시다.” “윗글이 반영하고 있는 사회적 의미를 말해 봅시다.” 등의 발문에 대한 현장 국어교육 교수자들의 고민을 해결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책은 3부로 구성되었다. 저자는 사회언어학의 비판적 언어 연구 주제 가운데 국어교육과 연관성이 큰 비판적 담화 분석, 인지의미론, 비판적 언어 인식에 집중하여, 이들 각각이 국어교육의 세부 교육 내용인 비판적 수용 교육, 어휘 사용 교육, 국어 의식 교육과 관련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1비판적 담화 분석과 비판적 수용 교육에서는 비판적 언어 연구의 중심 이론인 비판적 담화 분석과 국어교육의 핵심 명제인 비판적 수용의 접점을 탐색한다. 먼저 비판적 담화 분석을 기반으로 국어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연설, 매체, 광고 등 국어교육에서 다루는 교육 텍스트를 대상으로 비판적 담화 분석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2인지의미론과 어휘 사용 교육에서는 비판적 언어 연구의 분석 방법론과 관련된 인지의미론을 중심에 두고 분석한다. 인지의미론의 하위 이론인 틀짓기, 개념적 은유 등이 어휘 사용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는 측면에서 국어교육의 어휘 사용 교육과 연관지어진다. 저자는 이를 표현 의도 탐구로 개념화하고, ‘틀 의미론’, ‘개념적 은유를 기반으로 한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특히 공공 언어처럼 인지의미론적 분석의 대상으로서 사회문화적 언어 현상을 초점화하여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비판적 언어 인식과 국어 의식 교육에서는 비판적 언어 연구의 사회적 실천론인 비판적 언어 인식을 기반으로 국어 의식 교육내용의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저자는 언어 인식에서 비롯된 비판적 언어 인식을 바탕으로 국어 의식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는 한편 시의적 국어 의식 교육 내용을 교육과정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더 나아가 국어 의식 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고민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다문화 현상을 상정하고 비판적 언어 인식을 함양하기 위한 국어 의식 교육의 실제를 구안해 놓았다.

저 : 김규훈

국립안동대학교 자유전공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교양교육원장으로서 학부 기초 교육을 이끌고 있다.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교육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도 및 서울시에서 9년 간 고등학교 국어 교사를 지낸 후, 대구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주요 연구 분야로 생태언어학과 리터러시 연구, 비판적 언어 연구, 문법교육과 담화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주요 저서로는 융합형 사고와 국어교육,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론, 생태언어학: 언어, 생태학, 삶으로서의 이야기(역서) 등이 있고, 주요 연구 논문으로 생성형 AI 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 방향, 공공 언어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접점, 에듀테크를 활용한 문법 학습 공간의 확장, 문법의 교육과정 통합 실재화 방안외 다수가 있다.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