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검색

HOME>도서>대학교재 · 학술

대학교재 · 학술

본문

한국어 정서법 (개정4판)

저자
이선웅, 이승희, 정희창  저
  • 가격

    20,000 원

  • 출간일

    2025년 04월 01일

  • 쪽수

    456

  • 판형

    188*257mm

  • ISBN

    979-11-6707-183-5 93710

  • 구매처 링크

요약

 

정서법은 배우고 외워야 하는 지식이 아니라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지켜야 하는 약속이다. 그 약속은 말을 처음 배울 때부터 소통하며 활동하는 삶의 모든 순간에 존재한다. 세상의 모든 생각이 살아 숨 쉬는 한국어로 소통하는 지금, 그러한 약속은 늘 현재형으로 함께해야 한다. 한국어 정서법은 우리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한 최소한의 약속을 알기 쉽게 해설했다. 일상적으로 한국어를 쓰는 사람뿐 아니라,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 한국어를 가르치는 사람 모두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복잡한 한국어 어문 규정, 한 권으로 끝낸다.

 

알기 쉽고 찾아보기 편한 친절한 한국어 사용 설명서 한국어 정서법

감기 빨리 낳으세요.” “어의가 없다.” “나한테 일해라 절해라 하지 마.” 이 문장들은 누리꾼들이 꼽은 자주 틀리는 한국어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않하고(안 하고)’, ‘안 되(안 돼)’도 자주 실수하게 되는 것들이다. 우리말과 글이면서도 정확히 사용하는 게 쉽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맞춤법을 자동으로 맞춰주는 프로그램이 있어 정확히 몰라도 큰 불편을 겪지 않게 된 이유도 있겠지만, 한국어의 어문 규정이 방대하고 복잡한 탓도 있다. 게다가 예외 규정이 많고, 특히 띄어쓰기와 같은 경우 훨씬 복잡하고 어렵다.

한국어 어문 규정은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이렇게 네 개의 규정으로 나뉜다. 한글 맞춤법에는 총 57항의 규정이 있고, 부록으로 문장부호에 대한 해설도 포함되며, 표준어 규정은 표준 발음법을 포함하여 56항이나 된다. 외래어 표기법 역시 19개 나라의 발음을 한국어로 옮기기 위한 세부 규정과 함께 외국어 발음을 한국어과 대조한 대조표도 포함되어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어문 규정 전체를 다루는 책을 쉽게 찾기 어렵다. 어문 규정에 관한 책은 많지만, 대부분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기 쉬운 사례를 중심으로 몇 가지 어문 규정만을 다루기 때문이다. 물론 자주 틀리는 어문 규정만을 쏙쏙 익히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는 있다. 하지만 어문 규정은 1항부터 마지막 항목까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고 그 안에 맥락이 있기 때문에 전체 규정을 익히는 것이 한국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그래서 한국의 중견 문법학자들이 어문 규정을 가장 평이하고 이해하기 쉽게 해설한 책을 펴냈다. 한국어 정서법은 한글 어문 규정 전체를 다뤄 어느 한 규정도 소홀히 지나가지 않도록 했다. 각 규정에 대해서는 자세한 해설을 달고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예시를 함께 들어, 어문 규정의 원리부터 구체적인 활용까지 상세히 알려준다. 특히 표준어 사용, 띄어쓰기 등 실생활에서 쓰이는 어문 규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매년 13만 명이 넘는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요즘, 이 책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생 및 수험생,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 한국어를 정확하게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국인들에게 친절하고 한국어 사용 설명서가 되어줄 것이다.

2015년에 초판을 내고 10년이 되었다. 지난 개정3판 머리말에서 이 책의 수정·보완이 언제나 진행형이기를 바란다고 한 적이 있다. 다행스럽게도 그러한 기회를 독자들이 만들어 주셔서 제3판 출간 이후에 국립국어원에서 미세하게 개정한 내용들을 반영할 수 있었다. 이 책이 처음 선보일 때부터 함께 읽고, 공부하며, 많은 의견을 주었던 독자들의 성원과 질책이 책이 앞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책이 세상에 나오는 순간, 더 이상 저자들의 책이 아니라 함께 공부하는 모든 사람의 책이 된 셈이다.

 

저 : 이선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현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주요 논저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2005)

한국어 어휘 교육(2010, 공저)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2012)

이론문법의 관점에서 본 학교문법(2013)

저 : 이승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현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주요 논저

국어 청자 높임법의 역사적 변화(2007)

순원 왕후의 한글 편지(2010)

국어사 자료 강독(2013, 공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국어사 단원 내용 연구(2012)

저 : 정희창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현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주요 논저

우리말 맞춤법 띄어쓰기(2007)

열려라, (2010, 공저)

우리말 우리글 묻고 답하기(2010, 공저)

국어 준말의 연구(2004)

책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